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이광호 지음 / 홍익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계이황과 율곡이이.. 자연스럽게 주리론-영남학파, 주기론-기호학파라는 수식이 떠오른다. 거의 나에게는 맹자- 성선설, 순자-성악설 같이 공식같은 느낌인데.. 문제는 이 공식이 막상 시험때는 헛갈린다는 정도? 조선시대 유학자를 대표하는 두분의 학설이자, 두 학파의 분열과 갈등을 가져온 그 이유를 제대로 배워보거나 알려고 한적이 없었던 거 같다.
500년의 유구한 역사를 갖고 있는 조선왕조는 유학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은 국가였다. 하지만 그 엄청난 문화적 유산은 현대에 이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나와 비슷한 수준의 암기정도로 남아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유학을 현대사상으로 재창조하고자 하는 이광호님은 조선중기 성리학의 거두 퇴계와 율곡이 갖고 있던 견해의 차이를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로 풀어냈다. 풀어냈다고 하기에는 책 내용이 조금 어렵다고 느껴지지만.. 그보다는 나의 부족한 소양이 문제일듯 하다.
유학의 핵심을 거칠게 말하자면 수기안인(修己安人),내성외왕(內聖外王)이라고 할 수 있는데, 퇴계와 율곡은 내성외왕(內聖外王)을 바라보는 관점이 달랐다. 퇴계는 유학을 인간의 마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며 성인이 되어가는 자기 완성의 학문으로 이해한 반면 율곡은 사회와 자연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며 배우고 이해하고 바로 잡고자 했던 것이다.
사실 처음 두 분이 만났을때.. 퇴계는 35살이나 어린 율곡을 자신이 완성하지 못한 학문을 그가 성취하여 주기를 기대했다. 그래서 자신의 뜻과 다른 길로 나아가는 율곡을 안타깝게 생각하며 그에게 진리에 대한 이해를 달리해볼 것을 권유해보기도 하고 율곡의 독서자세를 꾸짖어 보고 경계하고 비판하는 마음을 놓지 않은 것이 아닐까? 하지만 좋은 소리도 세 번 하면 듣기 싫다고 하는데 이미 길을 달리한 율곡의 마음이 불편한 것은 당연한 이치였을 것이다.
두분의 견해차이의 극치였다는 <心學圖(심학도)>는 주자 심학의 기본 설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율곡은 그 항목과 배치를 논리적으로  문제삼으며 심지어 비슷한 말의 반복이라고까지 이야기 했다. 그리고 퇴계의 학문을 평하며 주자의 학설을 신봉하고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하여 의양지미(依樣之味, 모방하는 맛)라 하였는데, 이전에 읽었던 퇴계의 글이나 이 책에서 접했던 그의 서찰이나 시등을 볼때 조금은 박한 평가가 아닐까 한다.

 

비는 늘어진 은죽처럼 시내 기슭 가볍게 두드리고,
눈 구슬 곷 되어 나무 몸 싸매네.
말은 진흙 벌에 빠져 가는 길이 아직 힘들겠지만.
맑은 날을 부르는 새소리에 풍경 비로서 새롭네.
재차 권하는 술잔이 어찌 그리 얕은가.
이제부터 나일랑 잊고 의 맺어 더욱 친하게 지내보세

 

퇴계가 율곡에게 전한 시에서.. '나일랑 잊고 의맺자' 라는 글귀가 책을 읽는 내내 떠올라 안타깝기도 했다. 하지만 소낙비를 은죽(銀竹)이라 하여 대나무 줄기에 비유하는 것처럼.. 유학자들은 자신의 굳센 의지와 도도한 절개를 대나무로 많이 상징했다고 하는데.. 어쩌면 하늘에서 무심히 떨어지는 빗줄기에도 유학자의 마음가짐을 떠올렸던 퇴계와 거기에 뒤질바 없었던 율곡의 올곧음이 느껴지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