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문장론 - 책읽기와 글쓰기에 대하여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홍성광 옮김 / 연암서가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19세기 독일 최고의 철학자이자 문장가로 인정받고 있는 쇼펜하우어와 니체가 말하는 글쓰기란 어떤 것일까? 그들의 저서에서 뽑아낸 글쓰기의 대한 탐구와 사색을 읽으며 그동안 난 참 겁없이 글을 써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의 글쓰기는 그저 종이와 펜이 있기에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가꾸고 위로하는 과정이였다. 나도 그렇게 높은 경지까지는 아니라도 나 자신을 위한 글쓰기로 바꾸어가고 싶다는 욕심이 든다.
쇼펜하우어가 분류한 글을 쓰는 사람에 대해 읽을때 더욱 그러했는데.. 생각하지 않고 글을 쓰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하여 사고를 했기에 글을 쓰는 상황도 아니라는 것이다. 나는 중간즈음에 서있다. 글을 쓰기 위해 혹은 글을 쓰면서 사고를 하는 사람이다. 그러다보니 무엇인가를 말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 아닌 상황이 되어 내가 쓴 글을 읽다보면 '도대체 무슨 소리를 하고 싶은 것인가..?' 라는 자문을 할때가 많은 것 같다.
니체 역시 여행자를 다섯가지로 구별하면서 인생의 여로를 걸어가는 우리 역시 여행자와 같다고 말한다. 그리고 난 잘 쳐줘봐야 세상을 구경하거나 체험을 체득하여 몸에 지니는 정도라고 할까? 확실히 나는 스스로 생각하려고 하거나 독자적으로 사고를 하려고 하는 면이 부족한 것 같다. 요즘처럼 창의적인 사고가 힘을 갖는 시대에서 내가 부족한 것이 무엇인지 좀 더 명확하게 느낄수 있었다고 할까?
또한 글쓰기에 대한 다양한 팁도 얻을 수 있었는데, 생각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글을 쓰는 것이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못말리는 수다쟁이가 되어 나오는대로 다 써버리거나, 혹은 수다쟁이가 되지 않기 위해 도리어 부족한 글을 쓰게 되는 것이다. 쇼펜하우어가 지적한 딜레마 속에서 중용을 찾는 법은 니체의 조언에서 찾을 수 있었다. 실제로 갖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보여주려고 하지 말고, 특히 자신에게 좀 더 냉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어렸을때는 하나의 책을 여려번 읽는 것을 좋아했지만.. 어느새 그저 많은 책을 탐욕스럽게 읽는 쪽으로 변해온것 같다. 하지만 그저 읽기만 하는 자는 그저 학자일뿐이라고 쇼펜하우어는 말한다. 그냥 서재에 꼽혀있는 책이 아니라, 세상이라는 책을 읽은 자가 되고 싶지만, 가능할까? ㅎ 그래도 "반복은 연구의 어머니다" 라고 하지 않는가? 내가 읽는 것을 내 안에 간직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다시 어렸을때의 버릇으로 돌아가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