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역사를 알아야 할 시간 - 그들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을까
백승종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열 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때 목표가 섰고, 마흔에 어리둥절 하지 않았고, 쉰에 하늘의 뜻을 알았고, 예순에 듣는 대로 훤했고, 일흔이 되어서는 하고픈 대로 해도 엇나가는 일이 없었다"라고 공자는 말했다. 이것을 내가 받아들일때는 조금은 다르게 이해하곤 했다. 일단.. 나는 공자가 아니므로.. 저렇게 살아간다는 것은 힘들다. 그래서..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이해했던 것이다. 서른이 지나 마흔으로 다가가는 지금.. 나는 과연 마흔에는 모든 일에 현혹됨이 없는가? 물론 아니다. 귀 얇기로는 누구에게도 지고 싶지 않은 나지만, 그래도 이제는 나 인생의 중심이 내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마흔 역사를 알아야 할 시간]은 그런 나의 마음을 다잡아주는 책이였다. 이 책에서는 광개토대왕부터 노무현 전대통령까지 역사적 인물을 15분 만날수 있다.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행위를 실천에 옮겼다 하여 역사적 인물이라고 하였다. 역사는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것이기에.. 역사속에서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교훈이 된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다른 사람의 마음을 움직였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렇다 하여, 그들이 다 성공한 인물로만 구성된것은 아니다. 그래서 더욱 배울 것이 많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특히, 나에게 인상적인 인물은 광개토대왕광 연개소문이였다. 내가 갖고 있던 이미지를 바꿀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내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반면교사가 되는 두 인물이였다. 광개토대왕 하면 제일 먼저 이런 이미지가 떠오른다. 드넓은 만주벌판을 달리는.. ^^ 하지만 실제로는 그러하지 않았다고 한다. 요동지방은 땅이 척박하여 19세기가 들어서야 벼농사가 가능했던 지역있다. 광개토대왕은 백성들이 편히 살 수 있는 지역을 원했고 한반도로의 남하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어쩌면 내가 갖고 있던 환상.. 정복자의 이미지와는 조금 다를수 있지만, 그가 진정한 대왕이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그는 유연한 사고를 갖고 있었는데, 정세에 맞추어 그때그때 대처하는 방법들이 달랐고, 고구려 미래의 청사진을 정확하게 제시하는 인물이였다.
이에 비해 연개소문은 장수왕 이후로 무너진 전제권력을 다시 세운 인물이다. 신채호는 그를 "우리 역사상 최고의 혁명아"라고 칭송했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던 연개소문과 또 다른 모습의 그를 만날수 있었긴 하나, 무너진 권위를 다시 세우기 위한 그의 노력과 제도정비는 확실히 남달랐다. 하지만 그는 스스로의 목표에 갖혀있었고 그것만을 고수하다보니 국제정세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나이가 들수록 '머리가 굳는다'라는 표현을 자주 쓴다. 내가 갖고 있는 틀을 깨지 못하고 그 안에서만 세상을 바라보다보면 나 역시 우물안 개구리가 될 뿐일것이다. 유연하게 생각하고 섬세하게 세상을 바라보고 과감한 결단을 내리고 싶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내가 내 인생의 중심을 잡고 있어야 그런 사고가 가능한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