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쉽게 읽기 - 언제나 어디서나 써먹는 생활 속의 물리학
제프 스튜어트 지음, 권루시안(권국성) 옮김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나에게 물리란.. 수학이나 마찬가지였다. 개념을 암기하고 적용해야 하는 부분도 많았지만.. 대체로 공식을 외우고 그래프를 그리고 문제를 푸는 과정이 많았기 때문이다. 수학을 싫어하고 못함에도 불구하고 이과로 분류되었던 나로서는.. 학창시절 공부했던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중에서 아직도 물리는 싫어하는 과목으로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수학의 미적분과 비슷한 느낌이랄까.. 도대체 내가 이걸 어디에 써먹을까? 라는 그런 의문을 갖게 하는 과목이였다.


하지만 이 책 [물리학 쉽게 읽기]은 정말 쉽게 읽었다. 이런 느낌은 처음이다. ^^* 물리를 쉽게 읽었다라는 느낌.. 정말 낯설지만 또 한편으로는 매우 재미있었고, 학창시절 막무가내로 암기했던 개념들을 이제서야 이해하고, 생활속에서 그런 물리학이 어떤 모습으로 함께하고 있는지도 알게 되었다. 줄여 쓴 물리학의 역사, 힘, 에너지와 동력, 운동량, 열과 물질, 파동, 전기, 상대성, 양자물리학, 우주.. 목차만 보면 학창시절 공부했던 물리학 교과서에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는데.. 막상 읽어보면 전혀 다르다는 느낌이 든다. 훨씬 흥미롭고 또 쉽게 이해가 되고, 나와 관련없는 학문이 아니라 내 생활과 밀접한 학문임을 깨닫게 된다. 교과서가 이렇게 집필되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랬다면 물리라는 과목을 그렇게 싫어하지는 않았을 듯 하다.
파동에 대한 이야기가 나에게는 가장 흥미로웠는데.. 파동에 관한 설명은 '투명인간이 될 수 있을까?'로 흘러간다. 투명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빛과 파동의 개념을 사용해야 한다. 사실 투명인간이라고 하면 어린시절 누구나 한번은 꿈꿔보던 일이 아닌가..? 해리포터에도 등장했던 투명망토가 구현된 모습은 금속으로 만든 원통인데다 완전 투명도 아니였다고 한다. 빛이 파동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 투명인간으로 갈 수 있는 길을 만들어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그것을 손에 얻는 것은 힘들다는 것 역시 빛의 파동성이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우주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도 역시 마법은 마법일뿐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우주에서 오는 빛에 대한 부분.. 어둠물질,, 어둠 에너지, 중력같은 것들은 아직도 중세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수준이였기 때문이다. 즉 빛에 대한 증명이 아직은 부족하기 때문에 그 빛을 어떻게 굴절시키고 반사시킬지에 대한 발전속도가 느릴수 밖에 없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물리학 참 재미있지 않나?"라는 질문을 받게 되었다. 참까지는 아니어도... 재미있다. ㅎ 그리고 아직도 알아내야 할 것들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이 더 흥미롭게 다가온다. 미지의 영역은 쉽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기 마련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