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의 종말 - 세상을 바꾸는 새로운 리더십, 팔로어십
바바라 켈러먼 지음, 이진원 옮김 / 씨앤아이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리더십으로 밥을 먹고 살았다고 하는 바버라 켈러먼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교수이자 케네디스쿨 공공리더십 센터의 창립멤버이기도 하다. 하지만 켈러먼 교수는 그동안 행했던 수많은 강연과 책을 집필하면서 리더십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괴리고 점점 더 커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아무리 좋은 리더십을 사회에 내재화하기 위해 노력해도 그다지 바뀌지 않는 현실이 답답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Part 1 권력의 이동, Part 2 새로운 흐름, Part 3 리더십의 종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더십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준다. 그 답은 바로 팔로어십이다. 그리고 팔로어십의 폭발적인 확대를 가져온 것은 정보혁명이다. 생각해보면 그렇다. 이집트의 민주주의 혁명이나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을 일으키고 확산시큰 것.. 영웅적인 리더의 등장이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의 SNS로 인한것이였다. SNS는 혁명의 시작 그리고 확산에 있어 중심역활을 했고, 정부가 통제하는 언론의 힘이 아니라 시민 한사람 한사람이 정보를 나르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에 시민들이 모여 다양한 활동을 하는 아고라고 있었다면,, 지금은 더 많은 사람들이 시공간의 제한없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 있음은 확실하다. 그렇기에 팔로어십에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흐름에 따라 섬김의 리더십이라는 말이 많이 사용되는 것이 아닐까?


예전에 일본학을 공부할때.. 일본에서는 유교를 수용하면서 '의'라는 개념을 제외시켰다고 했다. 유교에서 말하는 왕도정치의 '의'는 백성을 하늘로 모시는 것이 황제의 '의'라고 생각하며, 황제가 의롭지 못할 경우에는 백성이 그를 바꿀수 있다고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 개념이 떠올랐던 것은.. 시민들이 자신의 리더가 의로운지 의롭지 못한지 판단할 수 있는 기본소양을 갖추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것을 판단하지 못하고 맹목적으로 따라간다면 시민 역시 의롭지 못한 것이 분명하다. 똑똑한 팔로어가 많아지는 세상.. 그것은 어쩌면 진정한 '왕도정치'의 길일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