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자신과의 대화 - 넬슨 만델라 최후의 자서전
넬슨 만델라 지음, 윤길순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투사, 영웅, 대통령, 성인이라는 거창한 존재에 가려진 '보통의 존재' 넬슨 만델라의 이야기라는 수식어를 갖고 있는 [나 자신과의 대화]를 읽으면서 나 역시 보통의 존재지만 끊임없이 노력하고 도전한 넬슨만델라를 만날수 있어 행복했다. 넬슨 만델라가 인류에 남긴 크나큰 발자취는 말로 다 할 수 없겠지만.. 가장 큰 발자취가 바로 그것이 아닐까 한다. 스스로 자신이 불완전한 사람이라고 우리에게 솔직히 보여주고 이야기해주고 있다는 것..


실생활에서 우리가 대하는 것은 신들이 아니라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오. 모순으로 가득 찬 사람들, 차분하면서도 변덕스럽고, 강하면서도 약하고, 유명하면서도 악명 높은 사람들, 우리 몸에 흐르는 피 속에서 구더기와 살충제가 매일 전쟁을 벌이는 사람들 .


그는 그것을 이렇게 표현했다. 모두가 평범한 사람들이라고.. 넬슨만델라도, 이 책의 서문을 쓴 버락 오바마 역시도.. 하지만 그들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이다. 과연 나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투사, 영웅, 대통령, 성인만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들 역시 평범한 사람으로 시작했고, 또 굳이 그런 대단한 인물이 되지 않더라도.. 내 주위에 많은 사람들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고 있지 않는가? 나도 미약한 힘이나마 더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이 숫자는 넬슨만델라의 인생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28은 그가 감옥에 갇혀 있던 총 햇수이고, 44는 그가 처음 감옥에 갇혔을 때의 나이, 72는 그가 감옥에서 풀려났을 때의 나이이다. 넬슨만델라의 자서전을 읽으며 이 숫자와 함께 그의 풀네임이 기억에 남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넬슨 롤리흘라흘라 만델라.. 롤리흘라흘라는 그의 아프리카식 이름이다. 그는 서양의 문명을 받아들여 공부했고,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는 강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함으로써 습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도 그렇게 실천하고 있다. 자치구역의 아프리카 족장들을 강제로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녀들을 교육시켜 의식의 변화를 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는 아프리카의 전통과 가치를 소중히 여긴다. 그는 어린시절 초원에서 아이들과 무리지어 놀던 경험이 집단적 규율을 정립할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였다고 말한다. 그 후 받게 된 정규교육은 개인을 강조하고 경쟁을 권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아프리카의 정신을 소중히 여기며 아프리카를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고자 하는 만델라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아쉬웠던 것은 바로 [자유를 향한 머나먼 여정]을 읽어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책을 읽고 나서 [나 자신과의 대화]를 또 다시 정독하면 그의 대화를 좀 더 잘 이해하고 배울 수 있을거라는 확신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