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요리에는 과학이 있다
코야마 켄지 외 지음, 김나나 외 옮김 / 홍익 / 201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난 요리를 잘 못한다. 하지만 맛있는 음식은 정말 좋아한다. 이 딜레마가 참 슬픈데.. 매번 나가서 사먹는 것도 좋지만.. 어렸을때 엄마와 이모가 해줬던 음식들이 그리울때가 있다. 그럴때 물어보면 알려주시는 레시피는 간단하지만.. 내가 직접 만들려고 하면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물론 인터넷이나 요리책을 봐도 글로만 쉬운 경우가 많다.


그런 나를 위한 책을 드디어 만났다!! [맛있는 요리에는 과학이 있다] 이 책은 요리를 잘 하는 사람이든.. 나 처럼 요리에 문외한이든.. 흥미롭게 읽을 수 있고 새롭게 알게 되는 것이 무궁무진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바삭한 튀김과 고슬고슬한 볶음밥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분을 막아야 한다라는 팁은 과학적이지만, 우리는 쉽게 알지 못하는 것들인 경우가 많다. 나 역시 튀김을 위해서는 물반죽이 차가워야 한다라던지.. 식당에서 만드는 것보다 집에서 만드는 것이 맛없는 것은 화력의 문제라던지 정도만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선구이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생선을 석쇠에 맛있게 굽는 방법같은 것은 열심히 메모를 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칼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조림을 하는 순서, 양념으로 맛을 내는 방법이나 심지어.. 요즘 내가 제일 궁금해 하는.. 왜 나라별로 수돗물의 느낌이 다른지까지 알 수 있었다.
사실 남편이 삶은 계란을 좋아해서 몇번을 시도해봤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검색도 해보고 조언도 구해보고 해서.. 소금과 식초를 넣고 굴리고.. 대충 이런 방법을 알게 되었지만.. 왜 그래야 하는지는 잘 몰랐다. 이 책을 읽다보면 왜 그래야 하는지.. 그것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런 점들이 참 재미있었다. 내가 몰랐던 것을 깨우치는 것도 좋았지만,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해서 했던 것들의 이유를 하나하나 알게 되어서, 이런작용들을 하는구나 생각해볼수 있고 응용하고 활용해볼 수 있게 도와준다. 

 

요리는 손맛이라고 하지만.. 손맛을 타고 나지 못한 사람에게는 과학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