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에 관한 생각 - 지금 당장 바꿔야 할 27가지
벤 벤슨 지음, 조창원 옮김 / 퍼플카우콘텐츠그룹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돈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거기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이였고, 때로는 내 생각중에 고칠것은 고쳐야 하는 시간을 건내준 [돈에 관한 생각] 이 책을 읽으며 일단 재미있었던 것은 내가 돈에 대해서 그다지 부정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어떤 현상이 진실로 선언되면 비록 사실ㄹ이 아니더라도 그것을 믿고 행동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진실로 만들어버린다'라고 하는 자기충족예언을 이야기하면서.. 사람들의 부를 얻고자 하는 욕망이 억눌려 있음을 지적한다. 그래서 그런 사고방식을 벋어나서 새로운 부의 법칙, New Rule을 익히면 부를 얻게 될 것이다. 일단 주관식같은 문제를 풀며 자신의 생각을 돌아보게 되는데.. 책을 읽으면서도 꽤 긍정적으로 혹은 새로운 법칙에 조금은 비슷하게 답을 한 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돈이 행복을 보장해주지는 않지만 '돈의 결핍은 악의 근원'이다. 이 말이 꽤 마음에 들었다. 돈은 확실히 삶에 대한 더 나은 방식을 제공해준다. 나는 더 많은 기회라고 생각하곤 했지만, 방식쪽이 맞는 듯 하다. ㅎ 돈이 없다는 것은 내가 해볼 수 있는 가지의 수가 줄어듬을 의미한다. 물론 요즘 같은 경우에는.. 시간이 없어도 그렇다.. 라는 생각을 하곤 하지만, 그래도 시간보다는 돈쪽이 더 영향력이 크지 않는가? 돈이 시간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도 사실이고..
뿐만 아니라 운은 잊으라던지, 돈을 필요로 하는 간절함의 정도는 차이가 있다던지 같은 새로운 규칙들이 인상적이였다. 물론, '월급쟁이로 머물러서는 평생부자가 될 수 없다'던지, '부모의 부가 자식의 부를 좌우하지 않는다' 라는 말은 조금은 반박하고 싶기도 했지만... 거기에 주어진 논거가 타당하니.. case by case라고 하고 싶어진다.
제일 인상적이였던 것은 리스크에 대한 부분이였다. 나와 아빠의 가장 큰 차이가 바로 이 리스크에 대한 부분인데.. 이 책은 리스크에 대한 개념을 아예 바꿀것을 요구한다. 리스크는 삶의 일부이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부의 창출은 안정성이나 리스크에 대한 게 아니라 교육과 무지에 대한 문제라고 말한다. 내가 있어서 조금은 도박같아 보이는 아빠의 방식이 나의 무지에서 나오는 판단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난 지키는 것을 좋아하고, 아빠는 늘리는 것에 열광하신다. 그 차이가 바로 리스크가 아닐까? 지키고자만 하는 것은 어쩌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돈에 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또 나의 생각을 바꾸는 과정에 있기도 했다. 돈은 친구와 같아서 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한다. 과연 내가 돈과의 관계를 평생 잘 유지할 수 있을지..? ㅎㅎ 일단은 돈에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게 우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