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라, 생각하라 - 지금 여기, 내용 없는 민주주의 실패한 자본주의
슬라보예 지젝 지음, 주성우 옮김, 이현우 감수 / 와이즈베리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슬라보예 지젝은 나에게 참 독특한 인물로 남아있다. 특히 그가 취하고 있는 포지션에 늘 감탄하게 되는데.. 급진적으로 느껴지면서도 또 지극히 이성적인 면모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마르크스와 헤겔에게 큰 영향을 받았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에 정통하다는 것이 그런 면모를 제대로 보이는 것이 아닐까? 그의 새로운 책 [멈춰라, 생각하라]는 지젝의 월가점령시위 연설전문으로 시작된다. 뉴욕 주코티 공원에서 있었던 이 연설을 친구를 통해서 전해들었을때, 가장 인상적이였던 말이.. '바로 저기 월스트리트에 있는 친구들에게 "이봐, 아래를 봐!"라고 일깨워주는 것이다.'였다. 하지만, 전문과 이 책을 함께 읽고 나니.. 이 말이 가장 마음에 와닿았다.

시위는 시작이 되어야 하지.. 끝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는 것이 요지인데.. 2008년 대한민국의 촛불시위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그때 촛불시위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처음 있었던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빠에게 전해들은 학생운동.. 그리고 대학을 입학하자마자 보게 되었던 연세대 한총련 시위까지.. 내가 기억하는 시위는 상당히 폭력적이고 투쟁적이고 비극적이고 장중한 느낌이다. 오죽하면 아직까지 '투쟁이다. 한총련이여.. 반미자주 함성을 위해..' 라는 노래를 기억하고 있을까? ㅎ 하지만 촛불시위는 다르게 다가왔다. 좀 더 축제같은 느낌이였다고 할까? 이 책에서 언급된것처럼 "시스템에 의해 위협받고 있는 공동(공동의 자연, 지식)을 염려한다" 라는 느낌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그것이 끝이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 후로 변화한 것은 없다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축제같았던 촛불시위가 긍정적으로 보이면서도 또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이 책에서 지젝은 바로 그런 것을 염려하고 있다. 점령지대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며 그런 일에 함께한 자기 자신과 사랑에 빠지는 것에서 멈추어선 안된다. 축제 다음에 무슨일이 일어날지 고민해야 하고, 우리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바뀌었고 바뀔것인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과연 우리는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그런 의문이 생긴다. '점령하라'의 시위현장 역시 지젝에게는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왔던 것일까? 문득, 레미제라블에서 제일 인상깊었던 'Do You Hear The People Sing?'이 이 책의 배경음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Beyond the barricade, Is there a world you long to see?' 자신이 바라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스로 생각하고 움직여야 한다는 것.. 누군가 대신 생각해줄수는 없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