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ch up 캐치 업 2013 : 장기불황시대, 소비자를 읽는 98개의 코드 Catch up 캐치 업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지음 / 지식노마드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기업 중심으로 공급되던 전문 소비자 조사 정보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업 (주)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에서 집필된 이 책의 서장에서 인상깊은 말이 있다. "내가 '대중적 판단'과 동떨어진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낮추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는 언급이다. 사실, 나 역시 약간은 그런 불안감을 갖을때가 있다. 현재 유행하는 것들보다는, 앞으로의 트렌드를 이끌어 가는 것들에 대해서 골똘히 생각하다보면, 도리어 트렌드와 어긋난것으로 향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책은 6가지 분야별로 핫이슈를 정리해주고, 거기에 따른 조사가 자세히 나와있다. 실제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읽을수도 있지만.. 나 나름대로 그 자료를 중심으로 생각해볼 여지도 있고, 또 분야별로 나와있는 조사결과를 연관시켜서 판단해볼수도 있어서 흥미롭게 읽었다.

특히, 이 책에서는 이제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갖추게 될 50대들을 1955년부터 63년까지 한국의 1차 베이비붐과 연결시켜 베이비붐세대라 구별한다. 그리고 거기에 대비되는 세대로 1979년부터 92년생까지를 에코세대라고 지칭한다. 이들은 가정에서 부모와 자식의 모습으로 함께하는 세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단순히 생물학적인 나이에서 오는 차이를 넘어, 사회변화에 따른 경험과 자라온 환경에서 나타나는 극명한 차이점이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 이들사이에 차이점을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를 분석하는 것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특히, 베이비붐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기업들에서는 커다란 이슈가 되는데.. 일본에서도 단괴세대 마케팅이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오기도 했었다. 이를 중국으로 확장시켜 생각해보면 앞으로 우리가 염두에 두어야 할 고객층이 어디인지 판단할 수 있다.


사실, 책을 읽는 내내 재미있었던 것은 사람들의 생각을 읽는 과정이였다. 예를 들자면.. 요즘 가장 핫하다고 할 수 있는 SNS에대한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도 있었고, 블로그와 싸이월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변화와 예측도 볼 수 있는 식이다. 그리고 얼마전에 읽은 [트렌드 코리아 2013]과 연결시켜 생각해보면.. 역시, 트렌드의 화두는 합리적인 소비를 넘어서서 자기 감정에 충실한 소비, 의미있는 소비로 향하고 있음이 분명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써니람다 2013-01-15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성스러운 서평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