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
데이비드 디살보 지음, 이은진 옮김 / 모멘텀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나는 결심하지만 뇌는 비웃는다의 원제를 우선 알아야할 것 같다.


What makes your brain happy and why you should do the opposite.

즉 이 책의 주요개념중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은 바로 '행복한 뇌'이다. 뇌가 어떻게 실수를 하는 지에 대해서 아는것보다는 뇌를 행복하게 하는 것.. 즉 우리를 유혹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고.. 반대로 행동해야 할때를 깨닫는 것이 이 책의 시작점이자 결론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는 내내 '행복한 뇌'라는 개념이 제일 흥미로웠다. 그리고 이 것은 단순히 그럴꺼다.. 라는 식의 추론이거나 간절히 바라면 우주가 나를 도와줄꺼라는 식의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정확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과학개발서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손실을 피하고, 위험을 줄이고, 피해를 방지하길 좋아하고, 확실한 것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이전의 정보로 판단하는 것을 좋아하는 뇌는 이런 작용으로 인간을 효과적으로 보호해왔다. 하지만 이런 보호성향이 도를 넘어 버리면 우리는 뇌가 만들어낸 보호막속에서 안주하게 되는 것이다.

뇌는 발전적일것이라는 착각, 치밀할 것이라는 오해, 성실할 것이라는 기대, 주도적일 것이라는 믿음, 스마트할 것이라는 환상.. 총 5부로 이루어진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나 자신에게 갖고 있던 과신 역시 내려놓아야 했다. 그래도 어떻게 이겨야 할지에 대한 방법을 매 장이 끝날때마다 정리를 해주기 때문에 조금씩 자신감을 찾아갈 수 있게 되었다고 할까? ㅎㅎ 과신을 내려놓게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신감을 키워주는 병주고 약주는 책이기도 하다. 그래도 다행이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하지 않는가.. '행복한 뇌'의 완고한 성향을 알게 되었으니 그 긴 싸움에서 나름 좋은 패를 손에 쥔 것이 아닌가.. 특히, 계획을 세우는 것을 좋아하는 나에게는 뇌는 내일에 대한 개념이 없고 즉각적인 보상을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작심삼일'이란 그렇게 나쁜 일만은 아니였던 것이다. 큰 계획을 작게 세분화시켜서 만든다면.. 작심삼일을 반복한다면..? 눈앞의 보상에 쉽게 흔들리는 '행복한 뇌'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