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김연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너를 생각하는 건 나의 일이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이 말은 어린나이에 세상을 떠날수밖에 없었던 지은이 이제는 자신보다 더 나이가 들어버린 딸.. 카밀라에게 전하는 것이였다. 말을 하고 싶어도, 바라보고 싶어도, 안고 싶어도, 입을 맞추고 싶어도,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랑이 없는 공간에 갇혀 오랜시간 딸만을 생각해온 지은이다. 그리고 그녀의 딸.. 해외입양으로 미국으로 떠났지만 자신의 뿌리를 찾아 온 카밀라.. 카밀라의 오해와 다르게 그녀는 버려지지 않았다. 지은은 그녀를 세상에 빼앗겨 버렸을 뿐이였다. 사람들에게 딸을 빼앗긴 여자와 엄마를 빼앗긴 여자.. 두 여인의 시선으로 1부와 2부가 구성되어 있다. 카밀라의 시선으로 바라본 1부와 다르게 2부에서는 화자가 누구인지 명확하지 않았었다. 책을 꽤 읽고나서야 지은이 자신과 자신의 딸의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자신의 엄마가 친오빠와 관계를 맺고 자신을 낳았을지도 모른다는 오해를 하고 충동적으로 엄마가 빠진 바다속으로 뛰어 들었던 카밀라가 엄마를 만났다고 할때 지은 역시 딸을 만났다고 말해줄 수 있는 것이였다. 그리고 그때 카밀라가.. 아니 어느새 엄마가 자신에게 주고 싶었던 이름으로 자신을 이야기하는 희재가 한 말이 계속 마음에 남았다.


"나는 어린 엄마를 꽉 안았어요."


낙태를 권하는 친구에게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오해의 심연을 넘어갈 수 있는 날개가 있냐고 되묻던 어린 지은이 떠올랐다. 그리고 그녀가 갇고 있던 믿음.. 자신의 뱃속에 있는 아이가 날개가 되어줄거라던 그 믿음이 틀리지 않았음을.. 사람과 사람사이에 존재하는 심연의 늪을 넘을 수 있는 날개는 바로 그 사람을 꼭 안아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사람을 받아주고 이해해주고 보듬어 줄 수 있는 것.. 그 것이 아닐까? 그래서 책 겉표지를 살짝 벗겨내고 본 다른 표지가 참 마음에 들었다.

처음 책을 읽을땐 희재의 아빠는 과연 누구일까? 라는 의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 그녀의 아빠로 지목되는 사람들이 계속 바뀌기 때문이다. 물론, 지은은 자신이 남긴 시로 암시를 해주고 있지만 그걸 깨닫기 위해서는 책을 다 읽어야 한다. 따라서 그 큰 줄기를 따라 나 역시 정신없이 책장을 넘길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 될수록.. 그리고 지은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사람들의 시선으로 넘어갈수록.. 내가 궁금해했던 의문들은 어느새 사라졌다. 그리고 사람과 사람사이에 존재한다는 그 오해의 심연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오랜 시간 아파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왜 우리는 엄마인 지은에 대한 진실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로.. 아니 잘못된 이야기들로 오해하고 스스로의 정체성마저 흔들려버려 바다로 뛰어든 희재가 그 속에서 만난 엄마를 꽉 안아준것처럼 하지 못할까? 우리라는 주어가 필요없이.. 나 부터 왜 그러지 못할까? 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는 책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