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질문 과학적 대답
김희준 지음 / 생각의힘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을 구분할때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으로 구분하곤 한다. 타인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전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명시적지식이 필요한데.. 나 같은 경우는 암묵적 지식의 비중이 더 높은듯 하다. 그러다보니 대충 알기는 하는데.. 다른 사람에게 설명을 해주는 것을 잘 못한다. 그래서 강의를 듣거나 책을 읽을때 어려운 이야기를 잘 풀어서.. 깊이있는 이야기를 쉬운말로 설명해주시는 분들을 부러워하곤 한다. 그리고 이 번에 읽은 책 [철학적 질문 과학적 대답]을 통해 만난 김희준 교수님의 강의를 꼭 한번 들어보고 싶다는 욕심도 생기고 왜 '명품강의'로 선정되었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기도 했다.
과학은 어렵다는 선입견을 갖기 쉽다. 일단 사용되는 용어들이 낯설고 여러가지 현상을 발견한 박사들의 이름은 많고.. 그들의 이름을 딴 법칙과 정의는 한도 끝도 없다. 하지만 암기위주가 아니라 이렇게 스토리텔링 형식을 빌어서 만나는 과학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다. 철학자 칸트의 사유가 과학적으로 증명되기도 하고, 콩트의 오류도 나온다. 그가 몇년만 더 살았어도 자신의 이론이 틀렸다는 걸 알수도 있었을텐데.. 아쉽기도 하다. 인간이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철학자들이 상당히 과학에도 조예가 깊다는 것이다. 그들은 사유를 통해 세상과 사람과 자연을 분석하고 연구했고 상당히 타당한 전개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내가 무작정 외웠던 정의나 이론의 뒷이야기를 살짝살짝 만날수도 있어 재미있었다.


이 그림을 먼저 봤다면.. 아 이 책이 어렵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다 읽고나서 이 그림을 만나게 되었을 때는.. 내가 읽어온 내용을 한 눈에 정리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라는 세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그리고 이 질문을 제목으로 갖고 있는 그림 한점으로 시작된다.

고갱이 이 작품을 그린 이유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이러한 근원적인 질문을 갖을수 밖에 없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한 김희준 교수님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현대과학을 통해 찾아나간다. 첫번째 질문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에 비해 두번째 질문 우리는 누구인가? 에 대한 답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학창시절에 4가지로 나뉘어 있던 과목..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인간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하나로 다가오는 느낌이였다. 그리고 더 특별하게 느껴졌던 마지막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에 대한 답은 분량적으로도 매우 짧고 상당히 철학적인 느낌으로 다가온다. 특히나 집으로 라는 챕터에 등장한 시는 더욱 인상적이다.


그리고 생의 저녁이 이르러
인간의 하루가 마감되면
그들은 모두 천국으로
드디어 집으로 돌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