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여대취 大予大取 - 크게 주고 크게 얻어라
신동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00페이지에 달하는 책을 다 읽고 나서.. 한번 읽는 것으로는 정말 부족하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다시 읽어보고 생각을 정리하기에는 마감이라는 한계가 있다. 어쩔수없이.. 지금은 서평이라기보다는 내가 다음에 이 책을 대할 때 어떤 부분을 더 생각하며 읽어야 할지 정리하는 시간이 될거 같다.
이 책의 제목은은 대여대취(大予大取)이다. 손자병법을 이야기할때 저자가 생각하는 말인데.. 크게 얻기 위해서는 크게 내어줄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손자병법을 The Art of War라고 부르며 상당히 선호하는 것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36계 줄행랑정도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어쩌면  암과도 싸운다.. 라고 표현할 정도인 미국과 아직은 仁義禮智(인의예지)를 이야기하는 유교가 지배하는 한국의 문화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이 책의 저자는 신동준씨는 비현실적이라고 판단되는 이상적인 관념이 지배하는 세상.. 완벽한 인간을 바라는 것 자체가 망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손자병법, 한비자, 도덕경등 난세를 지배하는 실증적인 처세학에 초점을 두고 이 책을 집필했다.
특히, 삼국지에서는 간웅으로 폄하되곤 하던 조조가 집필한 손자약해(孫子略解)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손자약해는 조조가 손자병법을 새롭게 편제한 책이다. 그리고 그는 손자병법을 관통하는 기본이념을 집이시동으로 파악했다. 전쟁의 기술이라고까지 말해지는 손자병법의 기본이념이.. 평소 무기를 거두어들였다가 부득이할때만 사용한다는 집이시동이라니.. 의아하게 여길수도 있다. 하지만 무력에만 의존해도, 덕치에만 일관해도 진정한 승리를 가져올수 없다는 것을 파악한 그의 혜안이 드러나는 것이다.
부득이하게 싸움을 해야 할 경우에도 구사할 수 있는 전술이 단계별로 존재한다. 그리고 적의 성을 직접 공격하여 유혈전을 만들어내는 것은 가장 마지막이고 부득이한 경우의 수라고 한다. 왜냐하면 무력을 동원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고 상대방이 전혀 항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최악의 경우에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승리를 거둘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바로 손자병법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싸워야 할까? 거기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이 책에 담겨져 있다. 이 책은 조조의 책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거리가 끊이지 않고 삼국지를 재해석했을뿐 아니라 정치, 역사, 소설, 기업의 에피소드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되는 손자병법의 묘미를 볼수 있는 책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실생활에 어떻게 응용할지에 대해서 다양한 팁을 얻게 된다.
보통 사람의 마음을 얻는자는 보통 권력을 바라고, 큰 이익을 주어 따르게 하는 자는 이익을 밝히고 보유한 권력과 위세를 이용하는 자는 명예를 탐한다고 한다. 이 세가지중에 하나만을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 모든 사람이 다 권력을 명예를 이익을 원하기 마련이다. 오죽하면 인간은 이익을 향해 무한 질주하는 본성을 지니고 있다고까지 할까? 이를 호리지성(好利之性)이라고 하는데.. 그것못지 않게 강렬한 것이 호명지심(好名之心)이다. 이는 인간이 남의 칭송을 받는 것을 좋아함을 이야기한다. 인간의 본성에 충실하기 위해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