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도서관에 끌리다 선생님들의 이유 있는 도서관 여행
전국학교도서관담당교사 서울모임 엮음 / 우리교육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듯한 물에 몸을 담그고 욕조에서 책을 읽으면 더없이 편안하게 느껴질때가 있다. 그런 시간을 도와주는 소품들을 발견했을때의 즐거움이란.. ^^* 그런데 아주 어렸을때부터 그런 시간들을 즐기는 아이들이 있다. 바로 잉글우드 도서관에 어린이들을 위한 열람실 덕분이다.


이 사진을 봤을때.. 아니.. 이 도서관뿐 아니라 뉴욕공공도서관이라던지.. 여러 도서관에 자리잡은 어린이 열람실을 보면 어렸을때부터 아이들이 도서관에서 얼마나 즐거운 시간들을 보낼지 짐작이 된다. 그리고 그런 시간들이 유아때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대의 시민들이 찾는 도서관으로 만들어주는 것이 아닐까?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는 평생 학습센터.. 가볍과 자유로운 그리고 편안함과 안락함을 주는 공간.., 그런 도서관을 많이 만날 수 있어서 즐거운 반면에 한편으로는 유난히 벽이 높은 우리나라 도서관들이 떠올라 속이 상했다. 사실 내가 다닌 연세대학교 도서관은 나에게 참 행복한 추억들을 많이 전해주었다. 친구들 사이에는 도서관에 가면 당연히 볼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기까지 했는데.. 졸업을 하고 다시 가보려니 어찌나 요구하는 서류가 많은지... 특히나 논픽션과 레퍼런스 자료가 공공도서관에 방대하게 있다는 것이 부러웠다. 이런 자료들을 보기 위해서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때로는 졸업생도 접근할수 없는 우리의 도서관과 달리 북미도서관들은 시민의 눈에 맞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었다. 바퀴달리책이라던지 라지프린트 도서를 통해 거동이 불편하거나 시력이 안좋은 시민들을 배려하고,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책을 분류할수 있게 한눈에 들어오는 스티커를 사용하기도 한다. 사실 이 별지스티커가 어찌나 흥미롭게 느껴지던지.. ㅎ


그리고 책을 쉽게 빌릴수 있게 북바스켓을 비치한다던지 사람들이 좀 더 도서관을 가깝게 여길수 있게 회의장소, 결혼식, 패션쇼장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리고 인상적이였던것은 도서관마다 특색있게 운영하는 다양한 도서관 프로그램이였다. 특히 페어팩소 공공도서관에 '개에게 책 읽어주기' 라는 프로그램은 개에게 책을 소리내어 읽어줌으로써 결국에는, 아이들이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그 나이대에 맞게 아이들 도서관에는 인형이 아기자기한 벽화가 자리잡고 있었고 청소년 도서관에는 게임기가 있기도 했다. 도서관을 책을 빌리고 책을 읽고 공부하는 공간으로만 한정짓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찾고 싶은 곳으로 먼저 만들고자 하는 그들의 노력이 여기저기서 느껴졌다.

사실 정보는 힘이고 곧 권력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정보를 모아놓은 도서관을 그들은 아름답게 지으려고 노력하고 또 사람들이 그 힘에서 멀어지지 않도록 다양한 배려를 하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도서관을 찾아 떠나는 여행을 계획해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뉴욕에서 지낼때, 섹스앤더시티라는 드라마에 열광해 뉴욕을 찾은 일본사람들과 잠시 어울린적이 있었다. 그들은 드라마에 등장했던 곳들을 찾아다니며 여행을 하고 있었는데.. 이와 비슷하게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도서관은 정말 재미있는 관광코스가 아닐까?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접한 다양한 도서관의 모습을 보면 책을 사랑하지 않더라도 흥미로운 방문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한가지 아쉬웠던 것은.. 좀더 사진이 크고 질이 좋았으면 어땠을까? 하는 것이다. 뉴욕도서관이나 미의회도서관은 여러번 갔던 곳이라..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볼수 있었지만 토론토 레퍼런스도서관을 비롯해 여러 도서관은 찾아본적이 없는데다가.. 사진이 작아서.. 글로 설명하는 그 아름다움을 잘 보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여 사진들을 찾아보곤 했기 때문이다. 물론 사진을 찾다가 책에서도 이야기되던 도서고나 재정이나 사서고용문제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를 찾기도 했지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