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나미의 아이들 - 재난이 휩쓸고 갈 수 없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
모리 겐 지음, 이선미 옮김 / 바다출판사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일본어로 죽다는 '死ぬ' 이다. 흥미로운 것은.. 'ぬ'에 속하는 동사는 딱 하나 뿐이다. 일본어를 배울때 선생님께서 일본은 자연재해가 많아 자신의 가족들이 친구들이 이웃이 죽었기 때문에 죽다라는 동사와 같은 음으로 끝나는 다른 말을 만드는 것조차 꺼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해주셨다. 일본역사를 공부하다보면 화산폭발,대지진,대기근이라는 단어를 자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지나간 역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가 지금 사는 지금에도 있었다. 바로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이다. 난 이때 일본에 있었다. 사실 일본에서 지내다보면 지진에 익숙해지게 된다. 할아버지 품에 안겨서 일본을 오갈때는 심지어 재미있게 느꼈었다. 하지만 내가 두 발로 걷고 생활하는 땅이 흔들리는 걸 보면 철없던 내가 부끄럽게 느껴진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익숙해진다. 아.. 흔들렸네.. 랄까? 하지만 그 날은 좀 달랐다. 처음에는 음.. 이라는 반응이였지만.. 점점 강도가 달라졌다. 하필이면 남편도 직장에 있었고.. 운이 안좋군.. 이라며 키우는 강아지들과 침실에 숨어있었다. 그때 처음.. 일본사람들이 침실에 침대외에 가구를 잘 두지 않는 이유를 실감했다. 그래도 큰 피해없이 넘어간 나와 다르게.. 동북지방은 그렇지 않았다. 지진과는 비교할수 없는 인명피해를 낸 쓰나미 때문이다. TV에 나오는 쓰나미의 모습은 무섭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도리어 영화처럼 느껴지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원전에 더 관심이 가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쓰나미의 아이들'이라는 책을 통해서 다시 쓰나미를 만났고 그게 영화가 아니라 현실이였고 사람들이 직접 겪고 고통받고 소중한 것(사람도 당연히 포함된다.)들이 다 물로 쓸려가버린 크나큰 재해였다는 것.. 그리고 그 속에서도 자신이 나고 자란 마을에 대한 애정을 잃지 않고 희망을 찾고 목표를 세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시간이였다.  그리고 그런 시간속에서 가족이 그리고 사람이 가장 큰 힘이 되어 주고 있다는 것도..


이 책은 쇼와시대 있었던 대지진과 쓰나미에 피해를 받은 아이들의 작문을 모은 책을 따라 다시 제작된 것이다. 쓰나미의 아이들은 아이들이 직접 쓴 그날 일어난 일과 그 후의 이야기.. 그리고 자신이 느꼈던 점들이 첫장에 담겨져 있고 직접 그 아이들의 가족과 주변사람들을 인터뷰해 구성한 책이다. 읽는 내내, 가슴이 아팠지만 또 한편으로는 아이들이 어떻게 그 상황을 이겨내며 성장해가는지.. 그리고 어른들의 이야기를 만날수 있어 따듯한 시간이 되었다. 책에 등장하는 마을의 대부분이 주민의 10%정도가 사라졌다. 함께 어우러져 살던 마을 사람들.. 그리고 너무나 사랑하는 가족들이 순식간에 사라지고 자신이 살던 집.. 직장등을 쓸어가버린 쓰나미는 너무나 크나큰 재앙이였다. 그리고 그 후에 이어지는 대피소의 생활은 정말 만만하지 않은 것이였다. 한편으로는 복구하는 과정 역시.. 아직 제대로 시작도 되지 못했다는 것이 안타까웠다. 사실 일본은 쓰나미를 대비하기 위해 방조제를 쌓기도 하고 쓰나미 대비구역을 지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쓰나미 앞에서 그 어떤 것도 의미를 갖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아직도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 것이 아닌가 한다. 마지막편에는 쇼와 대지진때 작문을 썼던.. 정말 달랑 혼자 남아버린 할머니가 다시 한번 쓰나미를 겪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할머니는 그 곳을 떠나지 못했다. 고향이란 그런 것인거 같다. 내가 나고 자라고.. 또 친척들이 형제들이 사는 곳.. 그리고 책에서 본 오나가와에서 사용되는 표현.. "에비스형제"처럼 친형제가 아니라도 친형제처럼 가깝게 지내며 돕고 사는 사람들이 사는곳.. 고치면 고쳐진다고 한다. 그리고 어떤 일이든 하다보면 사람들과 연결고리가 생기고 나도 살고 마을도 변해갈 것이라고 한다. 그렇게 그들은 희망을 놓지 않았다.


동일본 지진이 나고 아빠는 당장 일본을 떠날것을 요구하셨다. 하지만 남편은 계속 일본에 있어야 한다고 했다. 나는 다른 나라로 가라고 하면서 남편은 계속 그 곳에 있겠다고 했다. 의사인 그는 자신이 보살피는 환자들때문에도 그리고 이번 지진으로 인해 다치고 힘들어하는 사람에게 자신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그 곳을 떠날수 없다고 했다. 그때는 참 이해가 안가고 답답하고 원망하기도 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남편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