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 박찬일 셰프 음식 에세이
박찬일 지음 / 푸른숲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책이 있을까? 음식에 대한 에세이지만.. 음식사진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가끔 일러스트로 등장하는 수준이다.

이 일러스트는 닭을 먹을때 아빠와 아들 그리고 엄마와 누이들이 어떻게 먹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지.. 예쁜 접시에 먹음직스럽게 담겨져 있는 음식사진처럼 식욕을 자극하지는 않는다. 오로지 음식에 담긴 추억과 맛이 버무려진 글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나, 바로 어제 읽은 책에서 산처럼 쌓여있는 고등어 케밥장사의 사진을 보며 먹고 싶다!! 라는 욕망을 활활 불태우던 나였지만 사진 한장 없이 고등어 구이를 이야기하는 글.. 갈색으로 부풀어오는 바삭한 껍질, 자글자글한 기름, 기름기가 느껴지는 뱃살, 촉촉한 등살.. 이런 단어들에 연신 군침을 삼키고 있었다. 물론, 요리법도 하나씩 나오긴 하지만 보통의 요리책처럼 어떻게 계량하고 어떤 식재료가 들어가는지 세세하게 설며하기보다는 정말 맛깔나는 글로 설명한다.

사실 이 책을 읽는 내내 입안에 침이 고이는 현상과 요리도 못하면서 당장이라도 무엇인가 만들어서 먹고 싶은 충동을 계속 경험하게 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 책 서문에서 이야기하는 맛에 있어서의 소금의 역활처럼 맛에 있어서 추억의 역활도 크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책 제목인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를 '맛의 절반은 추억이다'라고 써도 괜찮을듯 하다. 정말 많은 추억거리가 나온다. 어린시절 짜장과 짬뽕의 이야기.. 예전에는 짬뽕을 면따로 국물따로 가져오곤 했단다. ㅎ 그리고 백숙에 얽힌 아빠의 권위,어른친척하며 먹은 돈까스 이야기, 누나의 월급날 그저 조금 더 비싸다는 이유로 먹었던 볶음밥, 어머니의 사랑이 듬뿍 담겨 층층이 쌓아올라간 찬합, 가난하던 시절 윤기있는(=기름기있는) 음식을 조금이라도 먹이고자 했던 배추전의 미학, 한상차림을 하는 우리나라에서 와인이 성공할수 없는 이유, 글로만 풀어간 부산음식여행, 나도 먹어본 기억이 있는 튀긴수준의 계란후라이, 정말 흔했던 랍스터의 과거까지..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ㅎ 캐비어는 요리를 따로 할 필요 없이 나무수저로 퍼먹는 것이 좋다는 말에 결국 아빠에게 보드카 한잔을 제안했다. 사실 그렇게 먹어본건 처음인거 같다. 보통 전채요리로 먹곤 하니까.. 하지만 어제는 추억의 절반은 맛이라는 걸 알려준 책과 함께 그리고 아빠와 환상적인 시간을 즐길수 있었고 나에게도 그런 추억 하나가 쌓였다.

이런 마음을 새기고 산다면.. 아마 요리를 못하는 나도 꽤 맛있는 음식을 만들수 있지 않을까? 책에 나온 계란 이야기에서 버터에 구운 계란후라이에 대한 악평이 있었다. 사실 나도 그런적이 있다.. ㅠ 그래서 남편에게 그때 어땠어?? 라고 물어보니.. 사랑으로 먹었어. 라고 대답했다. ㅎ 사랑으로 만들고.. 사랑으로 먹는것.. 그것이 추억의 맛일지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