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여인천하
양이 지음, 이지은 옮김 / 비즈니스맵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초등학생때 아빠에게 선물받은 삼국지에 빠져들어서 그 후로 다양한 삼국지를 읽어보았다. 물론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 기본으로 한 여러 번역가의 책을 따라다녔고.. 일본에서 나온 영웅삼국지정도가 약간 특이한 경우랄까? ㅎ 삼국지를 꽤 많이 자주 읽었다고 자부하는 나이지만 사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여성을 생각해보면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이번에 삼국지에 등장한 여성을 중심으로 그리고 그녀의 이야기를 통해 삼국지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영웅을 만날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났다. 아무래도 삼국연의가 쓰여진 시대는 수천년동안의 남성우월주의가 확고하게 뿌리내린 시절이다. 그래서 나관중 역시 조금은 성풍속이 자유로웠던 삼국시대의 모습을 자신의 시대에 맞게 재단한 경향이 있지만 그렇다고해서 그 시대의 여성의 인권이 높았던 것은 절대 아니다. 심지어 "형제는 수족과 다름없지만 처자식은 의복과 같다."라는 유비의 말까지 등장할 정도이니까..


손권의 동생이고 무예를 사랑했고 그 기개가 남다르다고 했다던 여성역시 그 이름마저 모호하고 정치적 희생양으로 유비에게 보내지는 수준이였다. 그러니 자신의 부인을 희생시켜 유비의 식사를 마련한 사냥꾼 유안이나.. 어린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재주가 남달랐 채염은 자신의 덕을 자랑하려는 조조의 트로피가 되어 사랑하는 아이들마저 두고 떠나와 슬픈 인생을 살아야 했다. 여러가지 사료, 민간소설, 원나라의 잡극, 중국의 드라마, 구전되어온 민간 전설 심지어 인터넷 판타지소설까지 등장하는 이 책에서 여성의 모습은 어쩌면 참 수동적이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모습을 어떻게 강조하고 싶은가에 따라서 여자들은 재단되고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연환계로 유명한 초선 역시.. 관우의 정의로운 모습 혹은 따듯한 속내를 강조하기 위해 죽임을 당했다가, 자살을 했다가, 도망갔다가 하는 여러가지 모습으로 등장한다. ㅎ 내가 삼국지에서 제일 좋아하는 인물을 꼽으라면 언제나 조운이 첫손가락안에 드는데.. 그와 번부인의 이야기에서는 원리원칙주의자다운 성품과 재가를 원하지 않는 부인의 마음을 헤아린 그의 깊은 속내가 잘 드러나서 조운이 더 좋아졌다.


세상의 미녀를 모두 거느리지 못한 게 억울할 뿐이라고 대놓고 이야기하는 조조는 명성답게 여자에 대한 이야기에는 거의 다 출연한다. 덕분에 이 책에서도 조조의 지분은 상당한데.. 특히 조조는 마음을 준 여인에게는 최선을 다했고 잘유롭게 그녀들과 사랑을 나누었다. 이런 '나쁜남자' 조조의 정실 정부인에 대한 이야기는 꽤 흥미로웠다. 조조는 수많은 자식을 두웠지만 그녀에게 나온 후사가 없었다는 점인데.. 그런 그녀가 거두었던 조앙마저 조조의 바람기에 희생되고 만다. 참 슬픈 인생이였으나 조조를 외면하고 버린 여성이기도 하다. 특히나 여성에게는 거칠것 없었던 조조가 세상을 떠나며 신경썼던 인물이 정부인이라는 것은 어떤면에서는 아이러니하다.


아무래도 삼국지에 등장한 여성에 대한 사료가 부족하다보니... 그녀를 둘러싼 남성들의 이야기가 더 많이 등장하곤 했지만.. 내가 알고 있던 삼국지의 여러 영웅들의 새로운 면을 만날수 있는 즐거운 기회였다.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들이 읽기에는 순서도 인물도 섞여있어서 어렵게 느껴질수도 있지만.. 삼국지를 읽어봤지만 내용이 가물가물하다고 말할 정도라면 이 책은 충분히 그때의 기억을 되살려주고 또 새로운 맛을 느끼게 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