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다큐 - 우주비행사가 숨기고 싶은 인간에 대한 모든 실험
메리 로치 지음, 김혜원 옮김 / 세계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내가 영화나 혹은 다큐멘터리에서 만났던 우주비행사는 영웅이였다. 하지만 이 책은 그들이 보여야하는 모습뿐 아니라 그들이 살짝 숨겨두고 싶은 이야기까지 낱낱이 파헤친다. 내가 기억하는 영웅들에게 배설물 주머니와 그들이 바지를 입을때는 누군가 도와주는 모습마저 추가해야하는 슬픔이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이 얼마나 무중력상태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했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였다. 심지어 지금은 영웅으로 느껴지던 머큐리 시대의 올바른 자질이 부적절한 자질로 바뀌어가고 있다고 한다. 이제는 우주를 개척하는 영웅이 아니라 그 곳에서 실험하고 살아가는 인간의 시대가 된 것이다. 작은 식물에마저 사랑을 느낄 정도로 우주의 생활은 메마르고 황량한데다 사람들과의 관계가 중요한 문제가 되면서 지금의 우주인에게 필요한 자질에는 배려심, 공감능력, 적응력, 유연성, 공평성, 유머감각, 무난한 인간관계등이 추가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중력을 따로 느끼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이 책을 읽으며 중력에 대해서 정말 많이 생각하게 되었다. 심지어 장기의 무게에 대해서 생각해보기 까지 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무중력 상태에 적응하기 위해 그들이 했던 수많은 노력이 그리고 그걸 실제로 경험했던 수많은 우주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처음 증기엔진이 개발되어 철도가 발달할 가능성이 생기자 과학자들을 빠른 속도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까 걱정했다고 한다. 하지만 기차는 적어도 지구를 달리는 것이 아닌가.. 우주는 정말 미지의 공간이고 그곳엔 지구와 다르게 중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을 우주로 보내고자 했을때 그들이 수많은 실험을 반복해야 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우주탐사와 행성과학에 인간을 투입하는 이유는 순전히 쇼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람들의 관심과 지지를 끌어내야 예산을 수립하는데 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이 인간을 우주에 보내기 위해 했던 수많은 노력들.. 거기에 투자되었던 인력과 자금을 따져 보면 그렇게만 말할수는 없을것 같다. 중력만큼이나 당연히 그들도 해야 하는 것임에도 내가 의식하지 못했던 먹고 배설하는 것.. 심지어 그들의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 '수의사'가 활동했다. 그것을 좀 더 완화하는 '우주 생리학을 지원하는 수의사'가 존재했고 덕분에 그들의 음식은 상당히 비인간적일 때도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뚱뚱한 우주비행사를 보내서 자신의 지방을 연소시켜 에너지로 사용하고 심지어 이 경우에는 오물관리 문제마저 해결된다는 극단적인 제안을 하는 사람까지 있었다. 이렇게 까지 해서 그들이 인간을 보내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인간만이 갖고 있는 직관이라는 놀라운 도구 때문이다. 사실 우주로 최초로 나간 영장류는 에노스라는 침팬지였다. 하지만 누구도 그를 영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저자는 그들의 행동에 용감함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난 거기에 노력이라는 단어도 추가해보고 싶다.

지금도 그렇지만 우주로 나갈수 있는 사람들은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고 육체적으로도 인정받고 때로는 정말 돈이 많거나 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그들은 그 곳에 가기 위해 아장아장 걷는 아이때 배웠을 법한 것들을 다시 배운다. 그리고 그들이 배우는 그 것들이 만들어지기 까지의 과정이 담겨져 있는 책이다. 사실 내용은 상당히 유쾌하다. ^^ 책을 쓴 저자의 성격이 그러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런 내용들을 취재하기 위해 러시아로 일본으로 미국으로 다니며 많은 우주인과의 인터뷰와 또 그들의 자서전까지 섭렵한 그녀는 상당히 위트있게 글을 풀어나가기 때문에 정말 재미있게 과학지식을 습득할수 있는 기회였다.

다만, 주석표시가 별모양이 아니라 숫자로 되어 있었으면 어땠을까? 왜냐면 주석이 길어지거나 내용이 길어지는 경우 다음장에 표기되곤 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