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권하다 - 삶을 사랑하는 기술
줄스 에반스 지음, 서영조 옮김 / 더퀘스트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는 내내 알렌산더 포프의 인간론이 떠올랐다. 회의론자 편에 서기엔 너무나 아는 것이 많고, 금욕주의자의 오만을 부리기에는 너무나 유약하며 심판자임을 자처하지만 끝없는 오류에 던져질수 밖에 없는 인간의 수수께끼.. 

 

아테네 학당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 책 처음에 등장하는 말이다. 그리고 그 학당에서 난 인간의 수수께끼에 대해서 끝없이 고민해야 했다. 어떻게 살아라~~ 라고 권하는 책이라기보다는 책을 읽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까? 라며 생각하게 하는 책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고민속에서 어쩌면 나처럼 내가 갖고 있던 오만함의 실체에 헛웃음을 짓게 될지도 모른다.  ^^;;;
고대 그리스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있었고 그 혼란속에서 새로운 철학과 사상이 필요해졌다. 그래서 철학자들은 고민을 했고 자신들의 철학과 사상을 발전시키기 위해 토론할수 있는 장소가 필요했다. 그것이 바로 아테네의 아고라였다고 하는데.. 나 역시 그 곳에 서서 고민하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특히 기조연설과 졸업식을 맡은 소크라테스는 인간중심철학 시대를 연 장본인이기도 하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발전시킨 그리스 철학은 현대 서양철학의 아버지라고 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중심철학.. 그래서 이 책이 '삶, 그리고 위태로운 순간들을 위한 철학' 이라는 부제를 갖고 삶을 살아하는 기술로 철학을 이야기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크라테스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에픽테투스, 무소니우스, 세네카가 맡은 오전 수업에서는 나 자신을 돌아보고 단련시키는 수업이 진행되었다면, 오후수업은 세상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위한 수업을 받은 기분이였다.
재미있는것은 점심시간에 에피쿠로스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에피쿠로스는 대중적으로도 쉽게 읽힌다. 아마도 매우 소박하고 합리적인 쾌락주의자라는 모습때문이 아닐가? 특히 한국에서 열풍처럼 번지는 힐링이라는 단어가 가장 잘 어울리기도 한다. 철학은 어쩌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 에 대한 고민과 거기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하지만 내가 학교에서 배운 철학은 너무 암기(?)위주이고 학문으로서의 모습이 강하다.
어쨋든 이렇게 고대 철학자의 여러 이론을 들려주고 그들이 이야기하는 해결책과 그들의 대화를 들을수 있다. 마치 정말 거대한  또 내가 좋아하는 철학자 알랭드 보통등의 인물들이 철학이 자신의 인생을 어떻게 바꾸어갔는지에 대한 인터뷰가 함께 담겨져 있다. 이 책을 읽고나서 난 철학을 상아탑에서 끌고나와 사람들 사이로 가져오기 위한 철학공동체 인생학교와 아이들러아카데미에 찾아가보고 싶어졌다. 진지하게 인생을 고민하고 인간을 탐구하는 사람들 사이에 서보고 싶어졌다고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