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황소
션 케니프 지음, 최재천.이선아 옮김 / 살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책을 다 읽고나서 다시 표지와 뒷면을 보게 되었다. 내가 본것이 맞는 것인가 하는.. 그런 생각이 들어서.. '제인구달이 권하고 최재천이 옮긴 절망과 희망의 노래' 왜 난 이 책에서 희망을 보지 못한 것일까? 절망과 좌절의 노래만 들은듯한 내가 이상한것인걸까..?
이 책은 에트르(être : 존재하다) 라는 이름을 갖은 황소의 이야기지만.. 어쩌면 사람에 대한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에트르는 인간의 말을 이해하고 생각하고 또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자신이 황소임을 자각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어미소가 어떻게 자신을 떠나갔는지 기억하고 있다. 얼굴을 알아보기 힘들정도로 살이 쪄서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사라지던 어미소는 에트르의 울음소리에도 뒤도 돌아보지 않는다. 그래서일까? 그는 그 컨베이어 벨트 끝에 소들을 위한 이상향이 있을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 벨트를 타고 사라진 소들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짐작대로 그 곳은 그런 이상향은 아니다. 자신의 암소와 함께 그 벨트에 올라탄 에트르는 황소라는 이유로 도축에서 겨우 벗어날수 있었지만 자신의 암소와 그리고 다른 소들의 죽음을 목도한다. 겨우 다시 농장으로 돌아온 그는 사람들의 대화속에서 들은 인도라는 나라.. 소를 신성시하는 나라를 이상향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송아지뿐 아니라 다른 소들도 이끌고 그 곳으로 향하려고도 했지만 다른 소들은 그를 따르지 않는다. 그는 자신에게 노래를 들려주던 농장주의 아들이 자신의 이름조차 모른다는걸 알게 되는데.. 스스로 '존재한다.' 라고 생각했고 다른 소들과 다르다고 생각했던 그의 생각이 철저히 틀렸음을 알게 되었을까? 그의 분노는 결국 상대의 존재마저 지우는 결과를 만들고 만다. 그리고 자신의 송아지와 인도를 향해 떠나는 에트르 그토록 지키고 싶어했던 자신의 송아지마저 잃게 된다. 꿈이라면.. 이런 악몽이 다시 있을수 있을까?


무지의 유혹은 고통을 넘어선다.


그가 자신을 따르지 않는 소들을 보며 생각했던 그 말.. 주어진 삶에 그저 익숙해져 살아가는 것과 주어진 삶에서 벗어나려고 했던 에트르가.. 결국은 다시 농장으로 돌아올수밖에 없었던 이 이야기를 읽으며 마음이 복잡해질수밖에 없었고 이 책에서 희망을 읽지 못한 이유를 찾기 위해 시간이 지나면 다시 한번 더 읽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