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 버리기 연습 - 먹어도 배고픈 사람을 위한 심리보고서
마리아 산체스 지음, 송경은 옮김, 유은정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식욕 버리기 연습이라는 책은 그 동안 나왔던 다이어트 책들과 전혀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다이어트는 아주 단순한 산수이고.. 먹는 것보다 많이 소모하면 된다는 나의 생각과는 다른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마음의 문제.. 라는 것이다.  나 역시 다이어트에 꽤 민감한 편이고.. 아마 이 책에 등장하는 날씬한뚱보의 한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한다. 특히 단것에 대한 식탐이 강한 편인 나는 내가 먹은 것에 대한 죄책감도 꽤나 갖고 있는 편이다. 뭐랄까.. 10대 후반까지 꽤 살이 찐 상태였기 때문에 엄마는 늘 거기에 대한 지적이 심했다. '살이 찌면 자기 관리를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위에서 멸시를 받게 된다.' 라는 것이 엄마의 기본적인 지적이였는데.. 그래서일까? 이 책에서 말하는 살을 빼면 삶을 제대로 살 수 있을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나도 비슷한 생각을 하게 된 것 같고 지금도 그런 의식이 조금도 변하지 않은것 같다.


"날씬해지면, 내가 그때는..."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체중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라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하기전에 엄마의 관리하에 엄청난 감량을 했었고.. 지금 곰곰히 생각해보면 그 때 살이 빠지고 나서 외형적인 변화말고 내면적으로는 뭐가 달라졌는지 잘 모르겠다. 살을 빼기전이나 후나.. 여전히 살에 대한 공포심은 그대로였다고 할까? 도리어 다시 살이 찌면 어쩌지 하는 두려움이 더 커졌다고 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이 모든 문제의 근원이라고 생각하고 도리어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관념은 더 강해진것 같다.

하지만.. 자신의 편안하게 느끼는 체중.. 을 유지하는 것이 다이어트라면..? 평균체중도 있고 일본에서는 심지어 미용체중이라는 말도 있고.. BMI를 계산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수치가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 편하고.. 자신이 활동하는데 편안한 체중.. 어쩌면 난 이 책을 읽으며 많은 공감을 하고 또 내가 얼마나 자기통제에 대해 집착하고 있는지 깨달았지만.. 그래도 바뀌기는 쉽지 않을것 같다. 하지만.. 적어도 사람마다 각자 다른 체중이 편안할수 있다는 사실 하나만은 분명히 인식했다. 그래서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갖고있는 나의 친구에게 이 책을 추천해야 겠다.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