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안네 - 60년 만에 발견한 안네 프랑크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
베르테 메이에르 지음, 문신원 옮김 / 이덴슬리벨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안네의 일기 그 후는 안네의 옆집에 살았고 그녀와 한 수용소에 있었던 저자의 이야기입니다. 안네와 달리 그녀는 어린나이에 가족과 친구.. 정말 모든 걸 다 잃은채, 자신보다 더 어린 동생과 함께 세상에 남겨졌죠. 살아남은 사람들은.. 아니 남겨진 사람들이라고 해야 할까요? 특히 어린나이에 남겨진 그들은.. 어린시절 겪은 크나큰 상처로 트라우마를 갖게 되고 또 그 상처를 제대로 치료받지도 못하고 고아원에서 생존을 위해 시작해야 하는 그 삶이 얼마나 힘들었을까요? 전쟁의 아픔과 참상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지만 그 후에 남겨진 사람들의 이야기는 자주 접하기 힘든데요. 그래서 이 책을 통해서 전쟁에서 살아남았다는게.. 정말 살아남은것인지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살아남았다면.. 앞으로도 계속 살아가야함을 의미하니까요. 하지만 그들은 살아가는 방법보다는 살아남는 방법만을 생각했을테니.. 그 후에 그들의 삶이 얼마나 아득하게 느껴졌을까요?

책제목이 굿바이, 안네이고 표지에 써있는 60년만에 발견한 안네 프랑크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는 좀 책 내용과 맞지 않는다는 생각도 들기는 했지만.. 어쩌면 저자는 안네프랑크를 자신과 동일시할수밖에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살아가면서.. 그녀가 살아남았다면.. 이라는 생각을 갖을수밖에 없었겠죠. 괜히 위안부할머니들도 생각나고..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좋지는  않았지만 책서문에 '멈추지 말고 계속 읽으세요' 라던 말을 계속 생각하며 책을 읽게 되었어요. 음식평론가로 성공한 저자는 아직도 냉장고를 꽉꽉 채워놔야 하니까요. 저는 여행중에 들렸던 안네의 집이지만.. 그녀는 아직도  그 근처를 지나다가 자신도 모르게 눈물이 흘러 힘들어하는 그런 곳이네요. 2차세계대전은 역사속 한페이지가 아니라.. 아직도 그대로 그 상처를 드러내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