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과연 진정한 지식인가 - 인터넷과 SNS의 시대, 우리가 알아야 할 지식과 교양
요아힘 모르 외 지음, 박미화 옮김 / 더숲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종이가 생기며 사람들이 자신이 아는 것들을 좀 더 쉽게 기록하여 남길 수 있었고, 그 후 금속활자라는 인쇄술이 생기면서 지식의 보편화가 빠르게 이루어졌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과 SNS의 시대이다. 쉽게 정보와 사진과 온갖 미디어를 인터넷에 올리고 공유하는 그런 시대지만..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부르지.. 지식의 바다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정보와 지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고.. 이 책은 지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어떻게 지식을 습득할 것인가? 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시작된 이 책을 읽으며 나 역시 거기에 대한 답을 나름 찾아보려고 노력했다.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대고 있지만, 여전히 지식에 갈증을 느낀다."

 

책에 인용된 미국의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의 말인데.. 인터넷과 SNS의 시대에 사람들은 점점 머리속에 지식을 쌓고 사고하는 것보다는 검색이라는 쉬운 도구를 사용하여 정보를 얻고는 한다. 책 말미에 등장하는 정치,경제,역사등 다양한 분야를 통해 살펴보는 나의 교양과 지식을 풀면서 모르는 문제를 만날때마다 검색을 해보고 싶은 욕구가 들었는지 모르겠다. 특히 많은 분량의 문제는 아니였지만 분야가 나뉘어져 있어서 내 지식이 생각보다 편협한쪽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검색을 통해 얻는 정보로 답안을 다 채울수는 있었겠지만.. 그것은 나의 지식이 아님이 분명하다. 나 역시 박학한 무지에 빠져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갖게 되는 집단지능.. 특히 구글등의 검색사이트에서는 다수가 본 정보라던지 많은 추천을 받은 정보가 먼저 노출되기 때문에 대부분이 비슷한 수준의 정보를 얻게 된다. 그래서 집단지능의 시대가 되어가고 있지만.. 문제는 이로 인해 사람들의 사고가 획일화 되고 다른 것을 인정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천동설이 지동설로 바뀌기까지의 수많은 연구와 논란이 사라질수도 있다는 것이.. 그래서 모두가 함께 오류를 범할수도 있다는 것이 흥미롭게 느껴졌다. 물론 당장 인터넷을 끊을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검색을 함에 있어서도 먼저 노출되는 답을 보고 '이거야' 하는 것보다는 다양한 글을 찾아보기 위해 노력하고 사고하는 과정속에서 진정한 지식을 얻을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