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자수 디자인
아오키 카즈코 지음, 고정아 옮김 / 진선아트북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아오키 카즈코는 십자수를 하는 사람들에게도 유명하신 분인데요.. 본인의 컬렉션을 갖고 잇는 분이기도 하죠. ㅎ 정원에서 꽃을 키우고, 아틀리에에서 정원을 가꾸듯이 자수를 해 왔다는.. 수를 놓는 사람들은 누구나 공감할 만한 말로 이 책은 시작됩니다. 보통 십자수를 '실로 그리는 그림'이라고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으니까요. 이 책은 십자수보다는 다른 기법을 이용한 자수책인데요.. 저는 주로 자수기법중 가장 단순하다고 생각하는 십자수를 해왔기 때문에.. 십자수를 넘어서 프렌치넛기법만 가도 요즘 사람들이 말하는 '멘붕'상태로 접어들거든요. 그래서 유난히 꽃과 정원을 사랑하는 작가의 작품들을 자신이 눈으로 본 풍경을 사진으로 남기는 방법도 좋지만 이렇게 작품으로 재창조하는 작업이 흥미롭게 느껴지더라고요. 사진은 자신이 본 그대로 남는다면 작품으로 만들어질때는 특히 자신의 눈을 사로잡았다던가? 아니면 그 속에서 느낀 메세지를 넣을수 있다는게 매력인거 같아요. 책을 보면서 눈이 호강하면서도 한편으론 어려워보인다.. 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전 특히 이 작품이 맘에 들었는데요. 자수와 원단의 어우러짐도 기발했고..  수놓을 분량이 적다는 것이 매력이랄까요? ㅎ

물론 작품 도안이 나오기전에 기초적인 방법은 설명이 되어 있어요. 도안을 보는법이라던지.. 베끼는 방법이라던지.. 깔끔하게 완성하는 방법이라던지.. 그리고 스티치도감도 나와있습니다. 십자수를 하다보면 십자수만 할 수 없게되죠. 저도 도감에 나온 기법중에 백스티치.. (이건 너무 당연하고..) 프렌치너트와 카우칭 그리고 리본스티치정도를 해보았는데요 그 중에서 절 가장 괴롭히는 프렌치너트의 방법을 유심히 보게 되었어요. 프렌치너트는 전 하다보면 매듭이 되는 경우가 많고 또 크기를 어느수준정도는 일정하게 맞추는게 힘들더라고요. 설명을 보면서 제가 왜 프렌치너트가 아니라 매듭을 만들어내는지 알게 되었다는 큰 수확이 있었다지요.

그리고 정말 탐나는 작업실의 모습.. 저렇게 깔끔하게 정리를 해놓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전 나름 정리를 하긴 하는데.. 늘 물건을 잃어버리거든요. 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