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바꾼 총 AK47
마쓰모토 진이치 지음, 이정환 옮김 / 민음인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CSI: MIAMI에 스마트블랫이라는 것이 등장했었다. 스마트블랫이란 총알에  추적기능이 들어가있어서 총을 쏘면 내가 타겟팅한 사람이 어디로 숨든 찾아서 명중을 시키는 그런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였다. 그걸 보면서 와.. 기술이 벌써 그정도로 발달한 것인가? 라며 충격을 받은 적이 있는데.. 하지만 그런 기술이 없어도 1947년에 제작된 총 하나가 지금까지 세계의 역사를 바꾸고 있다. 전세계에 유통된 양이 추산치로만 1억정이 넘었다는 AK47라는 총이다. 이 총은 손질하는데 약 15분정도 걸리지만 자주 손질을 하지 않아도 또 총알이 바나나모양으로 우겨져도 발사를 해내며 그 어떤 기후와 지형에서도 사용할수 있는 완결성을 갖고 있고 부품은 고작 8개 아주 단순하다. 그래서일까? 이 총은 많은 사람들에게 특히.. 어린아이들마저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아프리카 전역에 소년, 소녀의 손에까지 쥐어진다. 저자는 이 총을 제작한 칼라시니코프에게 물어본다.

"당신이 만든 자동소총이 세계 각지에서 혼란과 비극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나의 이런 질문에 그는 잠깐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입을 열었다.
"그런 이야기는 나도 들었습니다. 슬픈 일이지요. 하지만 그것은 총을 관리하는 사람 문제 아닙니까? 미국의 M16이나 벨기에의 FAL이 유출된 경우도 있지요. 나는 나치 독일로부터 조국을 지키기 위해 한층 더 성능이 우수한 총을 만들려고 노력했을 뿐이다."

 

칼라시니코프는 20대에 참전한 전쟁에서 독일의 최신무기에 자신도 큰 총상을 입고 동료들이 죽어가는 것을 보며 이 총을 만들었다. 과연 이 총을 제작한 사람에게 잘못이 있는 것일까? 나 역시 칼라시니코프의 말에 동감한다. 어떻게 사용하느냐의 문제이지.. 그가 아니였다 해도 인류의 역사에 이런 총은 등장했을 것이다. 다시 아프리카로 돌아가서.. 내가 알지 못한 또다른 아프리카가 존재한다. 책에서는 '실패한 국가'라고 말해지는데 국가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고 정부가 국가를 통치할 기능이 없는 그런 곳이다. 국민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가장 최소의 기준 즉 안심하고 생활할수 있는 치안을 확보하지 못하고 가장 기초적인 교육조차 제공하지 못한다. 그래서 반란군이나 군인이 아닌 일반시민에게 총을 갖고 다니지 말라고 하면 당연히 이런 대답이 돌아온다. 총을 내려놓으면 내가 죽을텐데.. 총이 없으면 살아갈수 없는 이런 국가들이 어떻게 국가로 인정받게 되었는가? 이 역시 아프리카의 비극에서 시작된다. 아프리카의 국경은 그 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없이 그냥 서유럽의 역학관계대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그 곳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 역시 한국가의 국민이라는 의식이 부족하고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 의욕이 없다. 그럼에도 그렇게 실패한 국가들이 인정받은 이유는.. 바로 냉전시대 국제연합에서의 의석싸움때문이다. 또 그렇게 자기편의 의석을 늘리기 위해 그 곳에 이런 총이 전해지기도 했다. 구 소련뿐 아니라 미국역시 그러했지만 이 단순함과 완결성으로 무장한 이 총이 살아남았을 뿐이고.. 이 총은 지금도 아프리카의 역사에 키워드로 남아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