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뇌는 착각에 빠질까 - 뇌과학이 들려주는 속임수의 원리
스티븐 매크닉 & 수사나 마르티네스 콘데 지음, 오혜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어렸을때부터 마술쇼를 보러다니는걸 꽤 좋아했다. 눈앞에서 펼쳐지는 여러가지 환상적인 마술은 쉽게 내 마음을 현혹시킨다고 생각했는데.. 이건 마음이나 눈을 속이는 손기술의 문제뿐만 뇌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이 책은 신경과학으로 분석한 마술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단순히 이런 트릭을 사용한다 식이 아니라 그들이 어떻게 나의 뇌를 움직이고 어떤 현상을 일으키는지 설명해준다. 뇌과학을 이렇게 풀어내는것 역시 흥미롭게 느껴졌다. 신경외과를 전공하고 있는 남편에게 막 아는척을 하기도 하고 어려운 말은 따로 물어봐서 읽어야 할 정도로.. 약간은 독자층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할까? 그런 느낌도 받았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그 어떤 정밀한 슈퍼컴퓨터보다 뛰어나다는 인간의 뇌가 만들어낸 다양한 착각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책 프롤로그에 등장한 이 이야기가 이 책을 가장 잘 설명해준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지상에서 가장 경이로운 마술쇼에 대한 이야기다. 지금 바로 당신 머릿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그 마술 말이다.'

 

뇌가 마술에 어떻게 쉽게 속는지.. 또 인도밧줄사건을 통해서 기억이 어떻게 조작될수 있는지.. 더 나아가 내 생각이 어떻게 타인에 의해 지배되는지..  결국 나의 결정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정말 '나'의 것인지에 대해 읽다보면 필연적으로 반대의 모습도 살짝 볼 수 있다. 내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 것인지.. 가장 흥미로웠던것은 인간의 뇌는 전에 겪었던 것을 연상해내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 기능을 통해서 불필요한 작업을 억제하고 빠른 선택을 가능하게 하지만.. 때로는 이렇게 트릭에 걸리고 마는 것이다. 예전에 미드로 영어공부하는 수업을 들었었는데.. 일단 미드를 자막없이 무조건 보는 것이 시작점이였다. 그때 강사님이 가장 자주 하는 말이 그것이였다.

 

'들리는 대로 정확하게 듣고 판단하려고 노력해야지.. 니가 아는 단어와 비슷하네.. 하며 쉽게 단정하지 말아라.'

 

언어를 공부할때도 쉽게 빠지는 트릭중에 하나이기도 한데.. 이처럼 마술이 사용했던 트릭은 일상 어디서나.. 예를 들면 광고같은 곳에 쉽게 활용되고 우리는 속곤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