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치는 뇌 - 당신의 뇌가 정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
토르켈 클링베르그 지음, 한태영 옮김, 정갑수 감수 / 윌컴퍼니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의 뇌는 4만여년전에 크로마뇽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때에 비해 현대를 살아가는 인류는 정말 천문학적으로 많은 사람을 만나고 정보를 취해야 하고 그 사이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과연 우리의 뇌는 어떻게 이런 일을 다 해결해내고 있는 것일까? 멀티태스킹이 강조되는 세상이 되자.. 학창시절에 산만하다는 소리를 꽤나 듣던 나는 처음엔 더 유리해진 듯한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나 역시 내가 해야 할 일들, 그리고 내눈을 자극하는 것들 사이에서 길을 잃은 듯한 느낌을 받을때가 많았다. 예전에는 차를 타면 주로 책을 읽고는 했는데 요즘은 책을 읽다가 모르는 내용이 나오면 '아.. 검색해봐야지...'라며 기계를 들었다가 어느새 인터넷 뉴스를 읽거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는 날 발견할때가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면 넘쳐나고 있는 내 뇌를 어떻게 감당할 것인지..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어떻게 강화할것인지.. 에 대한 무엇인가 실질적인 답을 찾을수 있을꺼라는 내 예상과는 달리.. 현재의 나의 모습을 좀 더 과학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정도일까?

한때는 두개골의 모양으로 개인의 능력과 심리가 결정된다는 골상학이 유행할 정도였지만.. 이제는 생물학, 신경과학을 기반으로 한 뇌과학의 발달이 이루어졌고 어떤 활동을 수행할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촬영하여 연구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를 설명하는 '두뇌가소성'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가소성이란 변형을 일으켰을때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고 바뀐형태가 그대로 남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내가 이 책 한권을 읽고나서는 이 책을 읽기전과 분명 다른 사람이 되어 있다고 한다. 왜냐면 모든 종류의 배움과 경험에서 인간의 두뇌는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 '두뇌가소성'이라는 말이 인상깊었는데.. 가끔 난 주위사람들에게 그런 이야기를 할때가 있다. '무엇인가 새로운 걸 공부하거나 새로운 책을 읽을때면 머리속에서 띠링!! 하면서 반짝반짝 불이 들어오고 행복해지지 않냐'는.. 그럼 다들 뭔소리냐는 식의 표정으로 보곤 했는데..  난 두뇌가소성에 민감한 사람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