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 - 한 권으로 읽는 도덕경과 한비자
상화 지음, 고예지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중국은 춘추전국시대의 혼란기였고... 그 혼란과 전쟁을 잠재우기 위해 많은 철학이 등장한다. 수많은 학자와 사상가들이 나타나 이때를 百家爭鳴(백가쟁명) 이라 하고 각 학파를 諸子百家(제자백가)라 한다. 대표적으로 유가, 도가, 법가, 묵가를 뽑을수 있고... 그중 유가의 공자는 인을 맹자는 성선설을 순자는 성악설을 주장한다.  도가는 노자가 창시했고 장자와 함께 무위자연 그리고 무위에 의한 통치를 주장했다. 법가는 공손앙과 한비자가 있었는데 법치사상과 강력한 왕권에 의한 통치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묵가는 소박함을 중시하고 겉치레를 반대했다. 왜 이렇게 다 설명을 하고 있냐고 묻는다면... 이 책에는 이 학자들이 다 등장한다. 심지어 혜시라는 많은 책을 집필했으나 전해지지 않고 있다는 명가에 속한 학자도 등장한다.

사실 이렇게 기본적인 사상만 생각해보돠 도가와 법가는 그 맥이 참 다르다. 따라서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는 것이 가능할까? 라는 생각이 이 책을 읽기 시작한 첫번째 계기였다.  그래서 원제를 찾아보니 左手《韩非子》右手《道德经》 라는 제목의 책이였다. 양손에 두 학자의 이론을 쥐고 있으면서 나에게 맞는것... 그리고 지금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을 취하라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고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그보다 더 한 이야기가 펼쳐져 있었다. 바로 제자백가에 등장하는... 내가 이름을 알고 있는 거의 모든 학자들이 등장하고... 그들의 이론과 일화가 소개되며... 또 노자와 한비자가 어떤면은 칭찬하고 어떤면은 비난하였는지... 그때 존재하던 수많은 국가들에서 부국강병을 외치며 펼치던 정책들에 이들의 입장이 어떠하였는지를 볼수 있는 그런 책이다. 마치 중국 역사서를 한편 읽은 것과 같은 느낌에 빠져있다보니 어느새 노자처럼 생각하고 한비처럼 행동하라는 기본명제는 저 멀리 날아가버리고 옛이야기속의 지혜를 깨닫고 있는 날 발견하게 되었다.

책을 다 읽고 목록속에 작은 명제들을 다시 읽어보았다. 마치 처세술 책에 등장하는 완전한 것은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 공을 이루면 스스로 물러나라. 장기적 안목을 갖추어라. 허상을 가려내는 탁월한 통찰력을 갖춰라. 믿음을 바탕으로 권위를 세워라. 군주와 신하는 이해관계에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등의 말들로 다시 리뷰를 정리하고자 해도... 이 속에 등장하는 이야기는 단순히 이런 말로 정리하기엔 너무 큰 이야기가 들어있다. 조금은 두서없이 등장하는 철학가, 정치가, 황제, 신화등으로 인해 역사적 철학적 깊이가 더해지기 때문에 한번 읽고나서는 책을 정리하기가 쉽지 않다.  아... 하지만 이 책이 매우 어려운 것은 아니다. 단순히 이런 학자의 이런 이론 이렇게 공부하는 것보다 이렇게 일화나 직접적인 사건을 두고 학자들이 펼친 논리를 보다보면 그들의 생각과 입장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책 제목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책을 읽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생각보다 이 책은 노자와 도덕경 그리고 한비와 한비자뿐 아니라 더 많은 사람과 생각을 만날수 있고 그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지혜를 깨달을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