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말의 밥상
박중곤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밥이 보약이다라는 말이 있죠. 삼시 세끼 먹는 음식을 통해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해요. 그런데 요즘 우리가 먹는 밥상은 어떨까요? 이번에 박중곤의 <종말의 밥상>을 보며 제 밥상을 떠올려봤습니다. 주로 빵과 과일 그리고 견과류와 유제품으로 이루어진 제 밥상은 오색오미가 사라진 이 책에서 지적한 그대로 고소함과 단맛으로 점철한 것이네요.

 이 책에서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하는 식물재배와 동물사육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물론 인간의 욕망 그 중에 식욕이 이런 사태를 부채질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것은 잊어서는 안되겠지만요. 단맛과 신맛이 감돌던 재래과일종과 다르게 단 맛을 극대화 시킨 과일 역시 사람들이 단 맛에 끌리기 때문이겠죠. 너무나 달달한 과일들, 심지어 요즘은 과일 재배할 때 설탕을 뿌린다는 농담을 하는 사람도 봤는데요. 그런 방식이 아니어도 이미 단맛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끊임없이 개량해왔고, 과일 뿐 아니라 대부분의 식품이 단맛을 높이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서 우리의 밥상에는 사탕바구니가 놓인 것과 같은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동물 사육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이제는 닭도 닭이라기보다는 그 용도에 따라 육계와 산란계로 구분해서 사육한다고 해요. 이것은 우리만의 문제는 물론 아니고요. 심지어 육계는 한달 정도의 사육기간을 거친다고 해요. 닭의 원래 수명이 10~15년이라는데, 그렇게 살아가면서 축적되는 에너지가 분명 있을텐데, 우리는 그런 것을 섭취할 수 없는 것이죠. 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식용동물들이 공장형으로 사육되고 있기 때문에 전염병에 취약한 것 역시 문제고요. 우리나라에서 살처분이 여러 번 일어나기도 했잖아요. 저 역시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이런 이야기를 읽다 보면 이대로 좋은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문제는 이렇게 만들어진 먹거리로 인해서 인류는 비전염성 질환에 시달리게 되었다는 겁니다. 심지어 이제는 전염성 질환마저 창궐하여 요즘은 코로나 19로 고통받고 있는데요. 날아다니는 바이러스 저장소라고 불리는 박쥐, 박쥐는 특별한 면역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수 있지만요. 박쥐의 생태계를 침범하고 있는 인간에겐 그런 것이 없다는 것이 문제지요. 이 역시 인간의 식욕이 만들어낸 비극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이 동물복지의 증진과 나아가서 농장 식물 재배에도 복지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이것이 인간의 건강추구권과 연결되기 때문이죠. 일단 저부터 오색오미 밥상,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