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함의 기술 - 뇌과학이 말하는 즐거워할 줄 아는 지능의 비밀
앤서니 T. 디베네뎃 지음, 김유미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의 저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아무래도 유쾌함일 것 같네요. 그래서 행동과학자 앤서니 T. 디베네뎃의 <유쾌함의 기술>이 너무나 궁금했어요. 예전처럼 자연스럽게 유쾌해질 수 없다면, 기술이라도 배워서 키워나가고 싶어졌으니까요. 책에서도 그런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상상력도 근육처럼 훈련을 통해서 강화시킬 수 있대요. 그렇다면 유쾌함 역시 그럴 수 있겠죠. 그는 다양한 학문을 통해서 수많은 사람들을 연구한 결과, 세상을 즐겁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아냈는데요. 이를 상상력, 사교성, 유머, 즉흥성, 경이성이라는 다섯가지의 특징으로 정리합니다. 매장마다 이를 삶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주기도 하고요.

 유머란 웃을지 안 웃을지의 문제가 아니라, 울면서 동시에 웃는 것이라는 말 너무나 기억에 나네요. 우울하니까, 난 계속 우울할꺼야 하면 결국 우울의 늪에 갇히게 마련이잖아요. 문득 상상력에 대한 이야기에서 나온 아인슈텔룽 효과가 떠오르네요. 이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다보면 사람이 결국 경직되고 기계처럼 된다는 것인데요. 우울감 역시 그런 것이겠죠. 그 안에 갇히게 되는 이유는 어쩌면 새로운 상황에도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사교성에 대한 이야기에도 비슷한 것이 나와요. 바로 앵커링입니다. 고정관념이라고 하면 더욱 이해하기 쉬운데요. 심리적 지름길을 이용하는 뇌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고정관념을 통제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네요.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금은 불편해도 낯선 상황을 감수하겠다는 의지가 필요해요. 이를 통해 유쾌함의 기술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무래도 온라인으로 사람들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죠. 심지어 요즘은 언택트 시대라고도 하고요. 하지만 그런 가상공동체는 사교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해요. 그래서 더욱 얼굴을 마주하거나 전화로라도 대화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건강한 공동체속에서 살아가면 유쾌함의 기술을 높일 수 있다니, 내일은 뭐처럼 친구들과 만나서 좋은 시간을 보내야겠어요. 그리고 그 시간 속에서 마치 어린아이처럼 일상의 모든 것에 경이감을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