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화가 김홍도 - 붓으로 세상을 흔들다
이충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홍도를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 같아요. 한국에서 학교를 다니면 그의 작품을 한 번쯤은 보게 되니 말이죠. 단원김홍도, 혜원 신윤복, 그리고 민화는 거의 하나의 세트처럼다가오곤 해요. 그래서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놀러 갔다가, 제가예상하지 못했던 작품들에서 김홍도의 이름이 보이거나, 그의 이름을 걸고 하는 전시화에서 그 다채로운 작품의 세계 때문에 놀라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의 작품에만 시선이 갔을 뿐 인간 김홍도에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어요. 그저 도화서의 화원이었고,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정도일까요? 그리고 이번에 <천년의 화가김홍도>를 읽으면서, 정말 저는 김홍도를 알지 못했다는생각이 드는군요. 그래서 책장을 덮으면서 보인 이 문구가 더욱 마음에 와닿았네요. ‘불멸의 작품을 남긴 대화가의 기억되지 않는 삶을 그리다


 영정조의시대를 조선시대의 르네상스라고 하기도 해요. 그만큼 어느 정도 근대의 맹아가 싹트고 있었긴 하지만, 중인으로 태어난 김홍도에게 반상의 구별은 여전히 큰 장애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 신분에서 바랄 수 있는 무인이 되기를 바랐던 아버지의 바람과 달리 김홍도는 그림에 빠져드는데요. 그 시절에 화가는 환쟁이라 불리며 천시되곤 했죠. 하지만 방안의 천장조차 화폭처럼 느껴지던 그가 걸어갈 길은 하나뿐이었습니다. 아무래도 그는 글보다는 그림으로 자신의삶의 여정을 기록했기에, 이 책은 그가 남긴 그림을 통해서 이야기를 엮어 나가는데요. 영정조, 그리고 순조까지, 그는 어용화사로 발탁되어서 왕과 세자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고, 현감이라는 벼슬을 했고, 그의 그림을 인정한 양반들과의 교류도 있었지요. 그래서 그가 남긴기록보다는 그에 대한 기록을 이곳 저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 그래서인지 그의 호에 대해 알려진이야기는 지극히 양반의 시점으로 해석된 것이기도 했어요. 그가 아호로 삼았던 단원이 갖고 있는 뜻을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면도 좋았네요. 그가 남긴 작품뿐 아니라 그 모든 기록을 엮어서 이렇게 전기를썼다니 저자 이충렬의 통찰력이 감탄스럽기도 하고요.


 무엇보다세월의 흐름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그림을 통해 그의 시선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면이 좋았는데요. 그림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가를 그리고 그 화가가 살아가던 시대에 대해 배경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왔어요.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단원의 그림에 빠져들게 되네요. 그림으로 시대를 풍미했던그가 구휼미에 의지해야 했다니, 그렇게 곤궁함으로 시들어버린 재능이 아쉽기도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