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아들의 교향곡 - 음악에 살고 음악에 죽다
금수현.금난새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냥 어렵게만 그래서 조금은 지루하기까지 했던 클래식 음악의 즐거움을 알게 해준 분이 바로 지휘자 금난새였습니다. 그의 자상한 설명과 위트, 예를 들면 설명이 끝내고 잠시 무대 뒤에서 다시 등장하면 처음 보는 것처럼 박수를 쳐달라며 살짝 윙크를 하며 미소 짓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한 거 같은데요. 그래서 그의 공연을 자주 보지 못하는 지금은 그의 책을 더욱 열심히 챙겨 읽는 거 같아요. 그는 아버지를 점점 닮아가는지 이것저것 하고 싶은 것이 는다고 해요. 저는 작은 응원을 더하고 싶어지네요. 부모를 닮아가는 것을 천성이라고 표현하는데, 정말 딱이다 싶기도 하고요. 저도 어느새 제 부모님의 행동과 말을 반복하고 있음을 깨닫곤 하거든요.

 <아버지와 아들의 교향곡>은 제목 그대로 아들 금난새와 아버지 금남현이 함께 완성한 책인데요. 아버지가 신문에 연재했던 글을 추리고 자신의 글을 더해 출판했기 때문이죠. 사실 저는 금남현님에 대해서 잘 몰랐었는데요. ‘세모시 옥색치마~’라는 가사는 너무나 익숙하죠. ‘금박물린 저 댕기가가 바로 떠오를 정도니까요. 바로 가곡 그네를 만드신 분이었어요. 작곡가이자 성악가인 금수현은 작가이자 장모님인 김말봉님의 시에 곡을 붙여서 이 노래를 만들었어요. 정말 예술가의 가문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책을 읽다 보면 제가 금난새님을 보면서 느꼈던 유머감각이 그의 아버지와 참 닮아 있다는 생각도 들고요.

 클래식 공연장에서의 박수를 치는 순간, 그리고 카네기의 일화 같은 것도 기억에 남고요. 아버지가 심부름을 시킬 때도 재미를 더했던 일화에 나오는 선 김에라는 말에도 많이 웃었네요. 저도 제가 서재에서 나오면 뭘 부탁하는 남편 때문에 내가 나오기만을 기다렸냐고 눈에 쌍심지를 키기도 하는데 왜 그처럼 긍정적으로 해석하지 못했나 하는 생각도 들었어요. ‘선 김에라는 말을 기억하고, 큰 행사에 참여하고 그냥 돌아오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온 김에 음악회를 하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었으니까요. 이는 카네기의 일화를 소개해준 금남현님의 마음에도 깃들어 있었던 것 같아요. 같은 상황이라도 어떻게 받아들이냐, 그리고 내가 그 상황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삶이 많이 변화할 수 있으니까요. 부자의 좋은 에세이를 통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