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나 아렌트 - 세계 사랑으로 어둠을 밝힌 정치철학자의 삶,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추천도서 ㅣ 누구나 인간 시리즈 1
알로이스 프린츠 지음, 김경연 옮김 / 이화북스 / 2019년 9월
평점 :
한나 아렌트, 최근에 그녀의 유작인 <정신의 삶>을 읽었는데요. 인류의 등불이 되었던 여러 철학자들과 한나 아렌트의
대화를 지켜보는 듯 하여, 철학의 세계와 인간의 가능성이라는 것은 정말 무궁무진하구나 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나요. 이번에 읽은 알로이스 프린츠의 <한나
아렌트>를 읽고나니, 그녀의 철학이 조금 더 선명하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철학과 삶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겠죠.
독일에서
태아는 유대계 독일인인 한나 아렌트는 나치가 득세를 하기 전 독일에서 공부를 하기도 했는데요. 그때
만난 마르틴 하이데거는 그의 스승이자 연인이었고, 학문적인 동지로 함께 하게 됩니다. 또한 하이데거의 추천으로 카를 야스퍼스의 제자가 되기도 했던 그녀에게 하이데거의 영향력은 상당히 큰 편이 아니었을까
해요. 하지만 세계사에 큰 소용돌이로 기록될 2차세계대전의
거대한 흐름속에서 그녀의 삶 역시 요동치기 시작하는데요. 하이데거는 나치에 가입하고, 그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그는 아렌트를 외면하고 야스퍼스와의 교류를 끊어버리는데요. 그녀 역시 유대인이었기에, 파리의 나치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탈출을 하여 미국으로 망명하게 됩니다. 정치철학자인 그녀가 그 시대의
흐름을 연구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운명적이었던 것이겠죠.
그녀의
삶뿐만 아니라 그녀가 남긴 수만은 저서도 다루고 있는데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저에게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어쩌면 평생을 안고 갈 질문거리를
안겨준 책이고요. 이 책을 읽으면서, 읽고 싶어진 책은 바로
‘전체주의의 기원’입니다.
어쩌면 제가 갖고 있는 질문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이데올로기가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보여주는지, 그리고 나치가 이데올로기를 활용하여 어떻게 사람들을 결속시켰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인데요. 어쩌면 좀 더 나아가서, 우리나라에
뿌리깊게 자리잡은 이데올로기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되 생기네요. 덕분에 한나
아렌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고, 좋은 책도 만나볼 수 있었어요. 앞으로도 ‘누구나 인간 시리즈’를
기대하게 될 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