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운동, 독이 됩니다
다나카 기요지 지음, 윤지나 옮김 / 지식너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라고 하죠. 운동의 중요성은 예부터 강조를 해왔었는데요. 그런 면에서 제목부터 상당히 도발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책이네요. 바로 스포츠의학 연구가 다나카 기요지의 <그 운동, 독이 됩니다>입니다.

남편이 운동중독이라고 해도 딱히 과한 말이 아닐 정도로 운동에 열중하기 때문에, 사실 저는 이 말에 공감하는 사람이기도 하죠. 이런 저런 운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으니 말이죠. 하지만 막연히 너무 무리해서 운동을 하는 것이 문제라며 말리는 것 보다 이렇게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대화를 하면 좀 더 좋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여러 운동에 빠져들었고, 몸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반복해서, 남편은 결국 수영으로 자리잡았거든요. 그나마 경쟁심이 가장 덜 생길법한 운동을 골랐는데, 수영이 실제로도 가장 안전한 운동으로 꼽힌다고 하더군요. 물론 미처 생각지 못했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지만, 비교적 안전한 운동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것 같아요. 물론 책에 언급되지 않은 문제점으로 약간 어려움을 겪기는 하지만, 그보다 큰 문제는 책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모든 운동을 우승이 목표인 선수처럼 한다는 것입니다. 거기다 하나의 운동에 열광해서 하는 편이라, 항상 사용하는 근육과 관절이 혹사되면서 이런저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죠. 그래도 수영은 조심해야 할 부분이 적은 편이라, 대회에 나가고 싶어하는 욕심만 말리면 될 것 같기는 합니다.

 저도 운동을 하는데, 저는 아무래도 수치에 조금 더 민감한 편이거든요.  그런데 그것 역시 좋은 방식이 아니었어요. 예를 들면, 요즘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에 하나인 만보계가 있지요. 그런데 그 만보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을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저는 걸음이 느린 편이고 보폭이 좁은 편이거든요. 그러니 걸음이 빠르고 보폭이 넓은 사람의 만보와는 또 다른 운동효과를 보이겠지요. 운동을 혹은 건강문제를 수치로 이해하면 보다 명확하게 다가오기는 하지만, 우리의 몸이 평균에 근접하지 않을 경우에는 함정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겠어요. 운동의 목표는 건강이잖아요. 제가 하는 운동이 몸에 해롭지 않게, 운동을 잘 이해하고 접근해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