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팔이 의사
포프 브록 지음, 조은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프 브록의 <돌팔이 의사>는 표지부터 의미심장하죠. 염소의 머리를 한 바포메트라는 악마가 있었다고 하는데, 정말 악마와 같은 존 R. 브링클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물론 표지의 염소는 그를 직접적으로 상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는 염소고환이식술로 발기부전을 치료할 수 있다는 말로 사람들을 현혹시켜 큰 부와 명성을 쌓았거든요. 그리스 신화에서 영감을 얻은 그는 어린 염소의 고환을 인간의 고환에 이식하면 서서히 흡수가 되어 혈기왕성한 정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요. 당연히 그런 기이한 수술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42명이라고 하니, 악마와 같은 연쇄살인범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합니다. 제가 가장 놀란 것은 바로 이 이야기가 실화라는 것입니다. 심지어 20세기 미국에서 펼쳐진 일이고, 이러한 고환회춘술을 시술했던 의사는 그 뿐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정말 말 그대로 각양각색의 돌팔이 의사들이 등장하여 할 말을 잃게 만들더군요. 영원한 젊음에 대한 인간에 무의미한 집착과 욕망이 만들어낸 비극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그런데 유독 존 R. 브링클리가 주목받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심지어 이 작품은 맷 데이먼 주연으로 영화로까지 만들어질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그 문구를 먼저 읽고 봐서인지 소설을 읽으면서 머릿속에서는 맷 데이먼이 그 역할을 연기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연상이 되었는데요. 마냥 사기꾼이라면 그렇게 잘 어울리지 않았겠죠. 하지만 브링클리는 상당히 독특한 면모를 갖고 있었어요. 말 그대로 마케팅의 천재라고 할까요? 자신이 만들어낸 사기극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데요. 그가 선보인 다양한 마케팅 기술은 지금 시대에도 널리 활용되는 방법이기도 하고요. 특히나 그는 매스컴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를 간파하고 있었고, 스스로 매스컴 마케팅의 선구자가 되기도 해요.  환자들을 불러모을 때 2+1의 방식을 사용하면서, 자발적 입소문을 만들기도 합니다. 만약 그가 잘못된 길을 가지만 않았다면, 어떤 발자취를 남겼을지 궁금할 정도였습니다. 말 그대로 스타가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까지 입문하려던 했지만, 그를 끈질기게 추적하여 결국 발목을 잡은 인물은 바로 모리스 피시바인입니다. 사실 저는 피시바인이 더욱 궁금하기도 했는데, 제 생각보다는 분량이 작았고 초점은 아무래도 브링클리에게 가있었던 것이 아주 조금은 아쉽지만 정말 흥미진진하게 읽었습니다. 미국을 휩쓴 희대의 사기극을 최고 그리고 최악의 돌팔이의 이야기로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까지 차지할 수 있었던 이유를 충분히 알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