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칸트인가 - 인류 정신사를 완전히 뒤바꾼 코페르니쿠스적 전회 서가명강 시리즈 5
김상환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5번째 책 <왜 칸트인가> 그 동안 한 권도 빼먹지 않고 챙겨 읽었던 시리즈인데요. 서울대 철학과 김상환 교수가 설명해주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 <판단력비판>은 솔직히 약간 어려웠던 것 같아요. 아무래도 책을 읽기 전에 미리 알아둬야 할 주요키워드부터 어렵다고 느껴지더니, 책을 읽으면서 조금은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심지어 작년에 의무와 동기를 강조한 칸트의 철학이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 부딪쳤을 때 어떠한 딜레마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책을 읽은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그래도 이 책을 통해서 칸트가 만들어낸 인식의 변화를 이해하고, 그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칸트를 코페르니쿠스에 비교하는데요. 코페르니쿠스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돈다는 것을 이야기했던 것처럼 칸트 역시 세상을 바라보는 주체가 바로 자기 자신임을 즉, 주체 중심의 인식론을 주창합니다. 그는 그리스어인 크리네인(krinein), 즉 자른다라는 뜻을 가진 말에서 유래한 비판이라는 말을 자신의 철학의 기본으로 삼을 정도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식으로 세상을 들여다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작동원리를 드러내고, 이를 통해서 근대적 사고관을 만드는데 기여했는데요. 저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원효대사의 일체유심조가 떠오르기도 했어요.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통해서 세상을 판단하고, 그 것이 결국 어떠한 한계나 장벽을 만들어낸다는 부분이 어느 정도 비슷한 결로 느껴지기도 했거든요. 그래서 절대적인 가치로 이루어진 세상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가치가 충돌하고 있는 세상임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야, 비로서 세상을 바로 볼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것이죠. 그렇다고 해서 그가 보편타당한 기준을 무시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것 역시 인간의 이성을 통한 경험을 통해서 발전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서 초월론적 철학을 구성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제가 자신있게 이해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제가 느낀 생각은 이러합니다.

 다행히 실천이성비판 편으로 넘어가니 제가 작년에 본 책들과 많이 연결이 되면서, 조금은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고요. 하나의 딜레마는 그때 제가 생각했던 칸트와 또 이 책을 읽으면서 만나게 되는 칸트는 조금씩 다른 느낌이라고 할까요? 그 안에서 하나의 상을 그려낼 수 있어야, 저 역시 제대로 중심축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판단력비판 편에서는 제가 그 동안 보지 못했던 칸트를 많이 만날 수 있었어요. 어떻게 보면 그 편이 가장 재미있었는데요. 나중에 이 책을 따로 찾아 읽어 보고 싶어질 정도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