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관으로 간 뇌과학자 - 실험실에 갇혀 살던 중년 뇌과학자의 엉뚱하고 유쾌한 셀프 두뇌 실험기
웬디 스즈키 지음, 조은아 옮김 / 북라이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를 사랑해서 뇌를 사용해 열심히 연구하여 40이 되기도 전에 뉴욕대학교에 신경과학 연구 실험실과 종신교수 자격까지 얻은 웬디 스즈키, 하지만 그녀는 자신이 뇌와 연결된 몸에 소홀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데요. 뇌를 보다 균형있게 사용하고, 뇌와 몸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자신을 대상으로 수행한 그녀는 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운동이 뇌를 바꿀 수 있을까?’라는 강의를 진행합니다.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뇌, 즉 뇌가소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만들기 위한 과정을 함께할 수 있는 <체육관으로 간 뇌과학자>입니다.

 그녀가 직접 해본 뇌가소성 실험에 대한 다양한 팁이 등장하는데요. 역시나 의도와 알아차림이라는 단어를 조합하여 만든 인텐사티운동이 가장 기억에 남네요. 긍정적인 확언을 외치며 운동을 하는 것인데, 이를 통해서 뇌를 운동하게 할 수 있어요. 또한 자신의 내면의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것들도 변화한다는 것을 느끼죠. 그저 긍정적으로 생각하자, 라고 다짐을 하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느껴진다고 할까요? 물론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신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멋진 보너스겠죠. 이를 통해서 그녀는 삶의 균형을 다시 잡을 수 있었는데요. 이전에는 실험실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느라 체중도 늘고 사회생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이제는 일과 삶에 집중하며 행복을 되찾게 되었죠.

 또한 이타적인 보상체계를 활성화하라는 조언도 기억에 남습니다. 바로 뇌를 웃게 만드는 방법인데요. 관대함으로 세상을 대할 때, 뇌에 보다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해요. 아무래도 성인이 되면 새로운 뉴런이 탄생할 수 있는 영역이 장기기억과 기분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와 후각신경구로 한정되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알려주거든요. 때로는 예전 같지 않은 기억력에 한탄을 하곤 하지만, 어쩌겠어요. 그래도 뇌를 보다 잘 이해하고, 이를 잘 활용해서 저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