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도시 이야기 - 서울.평양 그리고 속초.원산
JTBC <두 도시 이야기> 제작진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과 평양 그리고 속초와 원산의 시간을 스케치한 <두 도시 이야기>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에서 제목을 가져왔다고 하는데, 어쩌면 그 뉘앙스도 참 닮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에서 마치 평행선을 그으며 살아왔지만, 오랜 시간 동안 공유해왔던 삶의 양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은 느낌이 들어요. 인간이 만들어낸 수많은 것들이 남과 북을 가로막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하나의 원형을 갖고 있다고 할까요? 남과 북이 함께 만들어 방영한 국내 최초 남북 미식 기행을 책으로 다시 읽으며 절로 든 생각이네요.

평양하면 떠오르는 음식점은 옥류관이죠. 그래서 옥류관보다는 청류관에 대한 이야기가 더욱 기억에 남네요. 책에서도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청류관을 먼저 찾아가는데요. 푸른 버드나무라는 이름의 청류관은 1000명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해요. 평양의 맥주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있게 해준다는 경흥 맥주집도 규모가 정말 컸는데, 이 것이 북한의 문화이겠지요. 2007년에 봤던 것과 달리 보다 맵고 짜게 변해간다는 것도 흥미로웠고, 제일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다름 아닌 평양 불고기입니다. 바싹 구운 불고기에 냉면이라니, 정말 입맛 당기는 조합일 수 밖에 없죠. 역시나 사람들의 입맛은 쉽게 변하지 않는 것일까요? 물론 언어의 차이가 나는 것을 보면 역시 오랜 시간 교류가 없었구나 하기도 하지만 말이죠. 또한 피자집이 생겼다는 것도 재미있었는데요. 처음에는 느끼했다는 말 역시, 엄마가 피자를 처음 드셨을 때 하셨던 말과 정말 비슷했죠. 더불어 한국의 경양식의 역사도 수록해놨는데, 최초의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회사식당 내에서 시작했다니 그것도 재미있는 기록이죠.

2부에서는 동해의 선물이라는 원산과 속초가 나옵니다. 한때는 기찻길로 연결되어 있던 두 도시, 그래서일까요? 속초에는 실향민이 모여 사는 아바이마을이 있고, 식문화에서 접점을 많이 찾을 수 있는데요. 저 역시 정말 좋아하는 오징어 순대가 등장합니다. 오징어 순대는 명태순대에서 시작된 것인데요. 속초에는 오징어가 많이 나고, 상대적으로 손질이 쉬워서 오징어 순대로 변형된 것이라고 해요. 원산에서 가장 맛있다고 자랑하는 음식이 명태순대라니, 꼭 먹어보고 싶어지더군요. 요즘 과거의 북한의 모습이 아닌, 현재의 북한을 살펴볼 수 있는 책들이 많이 나와서 이해의 폭을 넓힐 기회가 많아지는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