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스
제시 볼 지음, 김선형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부터 독특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인구조사를 의미하는 센서스도대체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궁금했죠. 이 책의 키워드를 라면 시한부, 다운증후군, 인구조사정도를 떠올리겠지만, 저는 이상하게 가 떠오르네요. 마치 시를 읽는 것 같은 소설이었거든요. 다운증후군인 아들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이야기, 그들이 느끼는 감정, 대화 같은 것들이 시처럼 느껴졌어요. 어쩌면 회상에서 이루어지는 일이기 때문에 더욱 그랬을까요? 건조하기 이를 데 없는 인구조사라는 일과 겹쳐 있어서 더욱 대비되어 있는지도 모르겠지요. 아니면 본문의 구성이 시와 비슷한 편이라 그런 것일까요? 왜 이런 느낌을 받게 되었는지 저 역시 궁금해지네요.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전국을 여행하는 것이 꿈이었던 아내의 꿈은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습니다. 엄마처럼 정처 없이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아들은 다운 증후군을 앓고 있었습니다. 병원에서 의사로 일하던 남자는 정 반대의 위치에 서게 되고, 그는 아내와 달리 자신의 죽음을 준비할 시간을 갖게 됩니다. 아내의 꿈을 대신해 떠나는 인구조사라니, 처음에는 ?’리는 생각이 먼저 머릿속을 채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마음이 이해가 되더군요. 단순한 여행이 아니었습니다. 아내의 꿈도 한 조각 들어갔지만, 아들이 자신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갈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주고 싶은 아버지의 마음도 한 조각 들어가 있었으니까요. 어쩌면 자신이 확인하고 싶었는지도 모르죠. 아니면 자신을 위로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더 이상 부모라는 울타리가 아들을 지켜줄 수는 없지만, 그 동안 함께해온 모든 시간들이 그를 지켜줄 것이라고 말이죠. 물론 인구조사를 하면서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등장하지만 단편적, 아니 파편적이라고 해야 할 것 같네요. 마치 아들을 스쳐 지나간 수많은 사람들, 아들에게 오지랖을 떨며 이상한 시선을 보냈던 사람들까지 모두다 그런 존재라는 느낌을 주었어요. 그래서 그의 회상 속의 시간들이 도리어 빛이 났던 것 같습니다.

 A에서 시작하여 Z로 나아가는 여행, 커다란 알파벳으로 구분되는 장들은, 어느 순간 급박하게 넘어갑니다. 그의 병세가 악화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느끼게 해주지는 장치지만, 실제로도 그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이름은 많지 않을 것 같아서, 묘한 중첩이더군요. 그리고 마지막 이별의 장면, 기차를 타고 떠나는 아들을 보는 아빠의 시선은 너무나 덤덤하게 묘사되는데도 불구하고 눈물이 절로 나더군요. 작별의 그 모든 시간에 아빠의 눈빛, 손길은 아들에게 영원히 따듯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저는 그렇게 믿고 싶어요. 그가 가슴에 새기던 문신처럼 말이죠. 하지만 희미한 짐작조차 할 수 없다는 아버지의 말 역시 이해가 됩니다. 이 책의 저자인 제시 볼은 다운증후군을 갖고 있는 형을 갖고 있었기에, 그 표현이 더욱 맘에 와닿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