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나라의 심리학 - 힘겨운 세상에 도움이 되는 심리 테라피
김병수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병수의 <이상한 나라의 심리학> 요즘 심리학에 관심이 많아서 다양한 책을 읽어보곤 하는데요. 이 책은 개인의 심리적인 문제에 주목하지만, 제목처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나라에 대한 진단도 잊지 않는데요. 사실 어디 무인도에서 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닌 이상, 우리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겠죠. 요즘 화제가 되는 가짜뉴스에 대한 시선이 기억에 남더군요. 저는 아직도 인지편향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읽으면서 완전히 공감할 수는 없었지만, 사람들이 가짜뉴스에 속고 싶어하는 욕망을 인지부조화에서만 찾을 수는 없는 것도 사실이죠. 그래서 대중들의 분노 역시 살펴봐야 한다는 그의 의견이 자꾸 기억에 떠오르네요.

 이스털린의 역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소득증가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더 이상 행복도가 오르지 않는다며, 돈이 행복의 모든 것은 아니라고 말할 때 활용되는 이야기인데요. 우리나라도 가계 총소득이 1 800만원을 넘으면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고 해요. 하지만 그는 그 수치가 얼마나 큰지에 대해 도리어 주목하는 것 같더군요. 생각해보면 그렇죠. 뉴스를 찾아보니 국내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3475만원이고, 상위 10퍼센트정도가 1억 정도의 연봉을 받는다고 해요. 물론 수입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다각도로 되어 있는 경우는 조금 다르겠지만, 에는 상위 10퍼센트 안에 들어야 비로서 행복과 돈의 상관관계가 절대적이지 않음을 몸소 깨달을 수 있다니, 쉽지 않겠네요. 그래서 국가가 개인을 보호해준다는 믿음이 사라진 세상에 대한 그의 이야기가 더욱 와닿는 것 같습니다.

 당신의 감정은 안녕하신가요’, 저도 이런 질문을 받아본 적이 있는데요. 그는 도리어 감정보다 자신의 생활을 들여다보라고 조언하기도 하더군요. 아무래도 부정적인 성격이라 그런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보는 것, 그리고 상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보는 것이 저에게는 더 유용하게 느껴지더군요. 특히나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지 스스로 정할 수 있는 순간에 무엇을 하는지, 그게 그 사람을 잘 보여준다는 것이죠. 미사여구 혹은 과장된 감정으로 자신을 포장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쉬울 수도 있으니 말이죠. 일기를 쓸 때, 감정보다는 무엇을 했는지 더 기록하고 정리해보고 싶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