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 한명회부터 이완용까지 그들이 허락된 이유
이성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사한 신하를 일컫는 간신’, 이 단어를 들었을 때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은 송사에 나오는 나라 망하는 데에는 한 사람이면 충분하다와 궤를 같이 하였는데요. 하지만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를 읽고 나니, 고려사에 나온 국가를 운영하는 데 있어 간신의 등장은 결코 막을 수 없으니 군주라면 간신을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라는 말이 더 적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간신은 태어날 때부터 그렇게 만들어진 사람이 아니라, 누구라도 자신의 목표 혹은 욕망만을 좇다 보면 어느새 그 결과가 간신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죠. 특히나 김질의 이야기에서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요. 그 능력을 인정받아 세종이 사가독서를 허가해줄 정도였고, 대리청정하던 문종의 총애를 받았던 인물이죠. 하지만 그는 단종복위 거사에 합류했다 실패한 것에 두려움을 느껴 세조에게 이를 밀고를 하면서 역사에 남을 간신이 되고 말았는데요. 사실 그게 저였어도 비슷한 결정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더군요. 이미 세상은 세조의 품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황이니 말이죠. 그래서 김질은 평범했고, 사육신은 비범했다. 그뿐이었다라는 마무리가 기억에 오래 남네요. 도리어 충신으로 기록된 사람들이 남다른 존재이고, 특별한 존재인 것이죠. 현대의 우리가 영웅이나 슈퍼히어로의 이야기에 열광하는 것처럼 말이죠.

 김질 뿐 아니라 홍국영, 김자점, 윤원형, 한명회, 이완용, 임사홍, 원균, 유자광을 통해 간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는데요. 이완용은 간신보다는 매국노의 대명사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물론 그가 매국노라는 사실은 절대로 부정할 수 없지만, 과연 그만이었을까라는 질문을 그 동안 해보지 않았던 것 같아요. 신하를 간신으로 만드는 것을 경계했던 세종처럼 고종 역시 그를 충분히 막을 수 있었지만, 자신의 권력을 지키는데 급급했으니 말이죠. 어쩌면 이완용이 나라는 팔아먹어도 왕실은 지키고자 했던 것이 고종의 뜻과 딱 맞아떨어진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들더군요. 이와 비슷한 경우는 원균과 선조에게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삼도수군통제사의 자리에서 이순신을 끌어내리고 원균을 앉혔던 자신의 실수를 덮고, 이순신을 깍아 내리기 위한 선조 때문에 그는 어쩌면 무능력하고 탐욕스러운 장군에서 간신까지 올라설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인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