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웅불
다카하시 히로키 지음, 손정임 옮김 / 해냄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카하시 히로키의 <배웅불>은 제 159회 아쿠타카와상을 수상하였는데요. 책을 다 읽고 나니, 그 이유가 선명하게 느껴지더군요. 인간이 애써 감추며 살아가고 있는 이기심, 그리고 지극히 모순된 마음이 너무나 잘 드러나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죠.

 사실 처음에는 배웅불이라는 그 제목 자체에 끌렸습니다. 일본에는 오봉이 있지요. 선조의 영혼이 잠시 이승에 돌아왔다가 떠나는 기간, 첫날에는 길을 잃지 말라고 불을 킨다면 마지막 날에는 잘 돌아가시라고 불을 킨다고 해요. 그리고 그 기간에는 다양한 축제가 열려서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기도 하죠. 이 소설은 그 구조가 겹쳐지는 부분이 많았어요. 부모님의 잦은 전근으로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생활하는데 익숙한 아유무, 그는 도쿄에서 시골로 전학을 가게 되는데요. 아유무가 다니게 될 중학교는 이미 너무 인원이 작아서 곧 폐쇄하고 다른 학교와 합쳐질 계획이 잡혀 있을 정도죠.

그는 도시에서 왔다는 이유로 약간의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자연스럽게 동급생들과 어울리게 되는데요. 목가적인 풍경이 펼쳐지는 그 곳에는 누구나 다 알고 있지만, 누구도 말하지 안는 비밀이 하나 숨어 있었습니다. 그 이유를 나중에 짐작할 수 있었는데요. 어쩌면 대를 이어서 공동체를 결속시켜온 방법 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을 정도였어요. 집요할 정도로 한 사람을 희생양으로 삼는 집단따돌림과 학대였죠. 이를 이끌고 있는 것은 아키라인데, 화투패를 이용한 참새잡기 게임을 통해서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손기술을 이용한 속임수가 있었고, 희생양이 되는 인물은 언제나 미노루였죠.

도를 넘어서는 폭력을 묵인하고 있는 마을, 왠지 나중에는 그 마을에 대한 묘사 역시 숨막힐 정도로 답답한 밀실처럼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아유무가 다시 전학을 간다는 것에 절로 다행이라고 안심을 하기도 했는데요. 아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것만으로도 진저리가 처지던 사건의 연속을 마무리해주겠다는 듯이 선배가 등장합니다. 브레이크가 고장난 기차처럼 질주하던 기차의 종착역은 끔찍한 비극일 수 밖에 없는 것처럼 말이죠. 그런데 사실 저는 아직도 이 소설의 반전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시 제목으로 돌아갔던 것 같아요. ‘오봉’, 그들은 그런 방식으로 자신들의 결속력을 다지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