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년
문영숙.김월배 지음 / 서울셀렉션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 어떤 광고에서, 대한민국 첫 번째 집인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나와서 유심히 본 기억이 있어요. 내 집 갖는 게 꿈인 세상에서, 우리의 꿈은 그 곳을 떠나는 것이었노라던 그 문구가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이번에 읽은 <사건과 인물로 본 임시정부 100>에서, 이들이 그토록 떠나고 싶던 임정에서 한국으로 오는 길 역시 말 그대로 질곡의 시간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임정은 미연합으로 국내진공작전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무산되었습니다. 꿈에도 그렸을 귀국길은 도리어 개인자격으로 와야 한다는 조건부의 허락으로 이루어졌을 정도였죠. 그저 한국이 보인다는 사실만으로도 마냥 좋아하던 그 분들이, 친일파들이 득세하던 광복 후 한국에서 그들이 느꼈을 분노는 미루어 짐작할 수 없을 것만 같네요.

 이 책은 100년전 임시정부가 걸었던 길을 함께 살펴볼 수 있는 기행문 같은 느낌도 들었는데요. 물론 약산 김원봉이 사용하던 숙소처럼 제대로 보존되지 않고 있는 곳들이 너무 많아서 안타까웠지만, 그래도 제가 미처 몰랐던 이야기들을 많이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요. 임정하면 상하이면 떠올리기 쉽지만, 수없이 이전을 하면서 떠돌아 다녀야 했다는 것도요. 또한 이봉창과 윤봉일 의거를 계획했던 김구 선생님의 이야기도요. 독립운동과 함께 일본의 집요한 추적을 따돌려야 했던 그가 잠시의 도피생활에 도리어 잠깐의 여유를 맛볼 수 있었던 것이 남긴 글에서도 느껴지더군요. 또한 학도병으로 일본군에 끌려갔다가 탈출했던 장준하가 제비도 넘기 힘들다는 바쑤웨 고개를 넘으며 부끄러운 조상이 되지 않으리라결심했던 것도요. 저도 최소한 부끄러운 조상은 되고 싶지 않다는 바람이 생기기도 하더군요.

2019년은 안중근 순국 109주년이라고 해요. 하지만 아직도 그의 유해를 찾지 못했는데요. 이 책의 저자인 김월배와 문영숙 역시 이 부분을 너무나 안타깝게 여기는데요. 저 역시 속이 상해서 검색을 하니, 러시아 신문에 이에 대한 기록이 있다는 뉴스가 나오더군요. 최근에 홍범도 장군의 유해 봉환 요청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고 너무 좋아했던 것처럼, 좋은 소식이 전해지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