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 석기 시대부터 부동산 버블까지, 신경인류학이 말하는 우리의 집
존 S. 앨런 지음, 이계순 옮김 / 반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을 워낙 사랑하기 때문에, 그 끝을 알 수 없는 사랑에 이유를 알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밖에 없죠. 그런 호기심을 채워줄 수 있는 신경인류학자 존 S. 앨런의 <집은 어떻게 우리를 인간으로 만들었나>

물론 쉬운 책은 아니지만, 제가 집에선 느끼는 감각들이 그저 느낌이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어요. 때로는 나만의 유난스러움이 아니구나 그런 생각도 들고요. 외부에서는 어느 정도는 예민한 상태이고, 이런 저런 상태를 받기도 하고 그러죠. 하지만 휴식과 회복의 공간인 집이 있기에 인간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요. 물론 집이라고 해서 다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건물을 뜻하는 집이 아니라 우리가 편히 쉴 수 있는 그런 집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공간에서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의 긴장마저 풀어지죠. 그래서 뇌도 휴지상태로 들어갈 수 있는 것입니다. 휴지상태의 뇌를 연구한 여러 학자들은 이 상태에서 사람들은 자신에게 내재된 정신적 기능을 강화시킨다고 말하죠. 그래서일까요? 집에 있으면 너무나 복잡하게 엉켜있던 문제도 조금은 다른 각도로 볼 수 있는 여유가 생기는 거 같아요.

이러한 집의 역할 뿐 아니라, 호모 에코노미쿠스의 관점에서 집을 살펴보기도 합니다.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의 그 원인을 살펴보면 집 즉 상품으로서의 부동산이 있죠.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는 젠트리피게이션역시 그렇고, 우리나라 역시 부동산이 주요한 투자상품이 되었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만들어내고 있죠. ‘호모 에코노미쿠스는 집을 느낄 수 있을까?’라는 부제로 이야기가 진행되었는데, 너무나 잘 느끼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