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스빌 이야기 - 공장이 떠난 도시에서
에이미 골드스타인 지음, 이세영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사를 지으며 평화롭게 살아가던 소도시 제인스빌에 80여년 전 GM의 대형차 공장이 들어서면서 그 곳의 삶은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했는데요. 그리고 2008GM이 폐쇄하기로 결정한 공장에 제인스빌 공장이 포함되면서, 그 곳의 삶은 또 다시 급변하기 시작합니다.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문제를 취재하며 퓰리처상을 수상하기도 한 에이미 골드스타인은 GM이 떠난 이후 제인스빌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5년간의 취재를 통해서 그려내고 있는데요. 마치 한 편의 소설을 읽는 것처럼 가독성이 좋기는 하지만, 소설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펼쳐지고 있는 일이라는 안타까움이 오래 남기도 하네요.

 한 도시를 지탱하던 기업이 사라지고 너무나 당연하게 하청업체들도 붕괴하겠지요. 그 곳에서 일하며 가족을 부양하던 사람들은 실업자가 되었고, 이제는 더 이상 자신들을 중산층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됩니다. 자선은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것으로 이해하던 사람들이 이제는 자신이 자선의 대상이 되는 경험을 하기도 하죠.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에도 비슷한 문제들이 있습니다. 물론 미국에도 러스트벨트라고 하여 제조업이 쇠퇴하면서 함께 쇠락한 공장지대가 있기도 하지만요. 그 곳의 노동자와 가족들은 어떻게 살아가게 될지 정말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것 같아요. 저도 그렇지만 사람들은 쉽게 직업재교육 같은 것들을 떠올릴 거 같아요. 하지만 그 것이 말처럼 쉬울까요? 제인스빌에서도 기술전문학교를 통해서 사람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지만, 그 현실을 들여다보면 또 그렇게 만만한 일은 아니더군요.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을 갖고 있기 때문에 2년간의 교육을 버틸 힘이 부족하고, 직업기술전문학교를 통해 재취업을 하는 경우 수입이 주는 경우가 많은 것도 문제이고요. 또 새로운 일을 한다는 것이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닐 테니 말이죠.

 지역 공동체를 살리고 지역 경제를 다시 활성화하기 위한 많은 프로젝트가 펼쳐지고, 사람들도 자구책을 찾아서 다양한 방식을 자신의 삶을 이어나가기 시작하는 걸 보면 절로 응원을 하고 싶어집니다. 물론 사람 일이라는 것이 다 그렇듯이 소기의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다시 한번 좌절에 부딪치기도 하기도 하지만 말이죠. 개인이 또 지역이 하는 일의 한계를 국가가 조금 더 나서서 해줄 수는 없는 것인가 그런 의문이 들 때도 있어요. 이미 유사한 문제를 여러 번 경험했던 미국인데, 이에 대한 대비책은 아직도 마련되지 않은 것인가 하는 의문도 생기고요. 이러한 과정을 조금은 멀리서 지켜보면서도 솔직히 조금은 두렵기도 합니다. 4차 산업혁명기를 살아가는 우리의 미래가 아닌가 싶기도 해서요. 하지만 그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든 찾아내는 희망을 보면서 다시 힘을 얻기도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