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 때 펴보라던 편지 - 영혼을 깨우는 선승들의 일화 301
최성현 지음 / 불광출판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 그대로 주경야독晝耕夜讀의 삶을 사는 최성현의 <힘들 때 펴보라던 편지> 낮에는 자급자족을 위해 자연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밤에는 책을 읽는 그가 선승들의 일화 301개를 모아서 우리에게 보낸 편지라고 할 수 있겠지요. 삶이 막막하고 도저히 길을 찾을 수 없다고 느껴질 때, 선승들의 삶을 담은 일화에서 얻은 지혜는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테니 말이죠.

장수를 한 와타나베 겐슈 선사의 말이 떠오르네요. ‘인생은 아흔아홉굽이의 고갯길이라며, 이를 잘 넘는 방법을 들려주거든요. 우리는 그 길을 어떻게든 걸어가야 한다고 생각하죠. 인생은 고해고 삶은 고행이라며 말이죠. 하지만 그는 굽은 길은 돌아가라고 말합니다. 때론 멈출 줄도 알아야 하고, 때로는 멀리 돌아갈 줄도 알아야, 더 넓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고 말이죠. 저는 그랬던 것 같아요. 어떻게든 버텨야 한다고 말이죠. 하지만 너무 많은 비가 쏟아진다면 적당히 피할 줄도 알아야 현명한 것일텐데 이상한 면에서 고집스럽게 굴 때가 있어서, 이 말이 기억에 남는 것 같네요.

어쩌면 우리나라에 그 이름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이 아닌가 싶은 다쿠앙 선사의 일화도 등장하는데요. 그 중에 도쿠가와 이에미츠와의 이야기가 기억에 남습니다. 호랑이를 상대로 담력을 시험해보는 상황에서, 도리어 호랑이의 마음을 얻는 모습이 말이죠. 그는 너와 나라는 대립적인 구도를 만들기보다는 함께하는 것에 뜻을 두었던 사람이었네요. 또한 이 책의 제목이 되어준 잇큐의 일화도 있었습니다. 제자들에게 남긴 정말 힘들 때 열어보라던 편지 한 통, 그 속에는 걱정하지 마라. 어떻게든 된다.”라는 글귀가 있었습니다. 어쩌면 제가 가장 기억해야 할 말이 아닌가 싶어요.

좋은 이야기를 많이 읽어서, 서평으로 뭘 써야 할지 도리어 고민이 되기도 하네요. 그 중에 적막한 산간에 남겨진 사찰을 걱정하며 세상을 떠나지 못하고 유령으로 떠도는 노스님을 일깨운 방랑승려의 이야기도 생각나요. ‘바람이 절을 쓸고 달이 대웅전을 밝히거늘 무엇이 걱정이라는 대구에 비로서 합장을 하고 세상을 떠날 수 있었던 노승, 어쩌면 저도 그런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거든요. 내가 해야 하고 내가 신경 써야만 제대로 될 것 같아 매사에 앙앙불락 하지만, 정말 그런 것일까 자문하게 되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