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쟁과 평화의 역사,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ㅣ 누구나 교양 시리즈 3
게르하르트 슈타군 지음, 장혜경 옮김 / 이화북스 / 2019년 2월
평점 :
‘누구나
교양’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는 <전쟁과 평화의 역사, 최대한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입니다. 신석기 혁명에 대해서 배울 때, 구석기시대에 모계사회였지만 신석기가
되면서 부계사회로 변하게 된 이유 중에 하나를 잉여재산이 등장하면서 펼쳐진 약탈전쟁 때문이라고 언급하더군요. 그래서
이 책에서도 전쟁에 대해서 탐구를 하면서 전쟁은 남자의 일이라고까지 표현하는 거 같아요. 물론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지능, 아니죠 어쩌면 욕망인 것 같아요. 서로를
비교하고, 그 와중에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상대보다 우위에
서고 싶어하는 인간의 본능이 결국 전쟁을 가져온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인류를 자멸의 벼랑으로 내몰았던
두 번의 세계대전 역시 그러했으니까요. ‘깊이 읽기’를 통해서 30년 전쟁과 1차, 2차
세계대전에 대해 더 폭넓게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었는데, 제 눈에 보이는 것은 욕망이었던 것 같습니다.
책을 읽으며 왜
인류는 전쟁을 하는 것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지만, 도리어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가 얼마나 불안한 것인지 생각해보게 해주기도 하네요. 게임을 통해서 신병을 모집하고, 그 신병이 놓인 실전도 게임과 점점 유사해지는 미국의 시스템에 놀라기도 했고요. 그만큼의 비용을 감당할 수 있으면 자국의 국민과 군인을 희생시키지 않은 채로 전쟁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에
당황스럽기도 하고요. 민영화와 비대칭 갈등으로 흐르는 전쟁의 양상도 조금은 두렵습니다. 어쩌면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4차대전이 있다면 곤봉과 돌맹이를 들고
하게 될지도 모르겠지만, 과연 그 전에 기술과 자본의 비대칭성이 만들어내는 전쟁이 어떤 형태일지 예측하기도
힘든 거 같아요. 그 동안 인류가 지나왔던 역사를 통해 평화로 나아갈 길을 배워야 한다고 하고, 그 것밖에 마땅한 답이 없는 것도 알지만, 쉽지 않다는 생각이 왜
자꾸 드는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