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곰돌이 푸, 인생의 맛 -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간결한 지혜
벤저민 호프 지음, 안진이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왜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곰돌이 푸를 사랑하는지
알게 해준 책, <곰돌이 푸, 인생의 맛> 어렸을 때 동화처럼 이해했던 곰돌이 푸, 하지만 제가 기대했던
것보다 더 철학적이고 지혜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요즘은 그런 것에 주목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기도 하고요. 그런 면에서 볼 때, 이
책은 쉽게 읽을 수 있지는 않지만, 푸가 우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도가철학을 통해 접근해서 그런지 조금 더 친숙한 느낌도 들고 말이죠.
“피그렛이 망설이고 이요르가 투덜거리고 래빗이 이것저것 재고 아울이 거들먹거리는
동안 곰돌이 푸는 그저 자신으로 존재하지”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이렇게 잘 설명하고 있는지 말이죠. 하지만 무엇보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 모든 것이 결국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모습이라는 것이죠. 마치 영화 ‘인사이드 아웃’처럼
말이죠. 저는 어쩌면 이요르와 아울이 주도권을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그래서인지 이 둘이 등장하는 에피소드들이 더 재미있기도 해요. ‘화요일이라고
쓰는 법’에서 아울로 대표되는 철학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좋았거든요. ‘인생이라는
소풍을 망치는 개미’라는 비유까지 말이죠. 어쩌면 저 역시
그 개미들의 목소리에 우왕좌왕하면서, 뭔가 해야 할 것 같은데, 막상
한 것은 없고, 그런 강박에 시달리고 있는지도 모르죠. 결국
그들이 무엇이라도 해야 한다고 설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도 행복인데 말이죠.
그래서 "두 팔을 벌려야 껴안을 수 있을 만큼 굵은 작은 나무도 작은 씨앗에서 자라났고”로 풀어가는 노자의 이 말을 지혜와 행복 그리고 용기로 풀어나가는 부분이 기억에 남습니다. 결국 모든 것이 바로 여기에서 시작되고, 저 멀리 어딘가에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 여기에서 마무리된다는 것인데요. 푸가
제일 좋은 날은 오늘이라고 하던 것과 참 닮아 있지요. 어쩌면 푸가 살아가는 방식이 순환고리가 아닌가
해요. 여기에서 시작하여 다시 여기로 돌아오는, 어릴 적
읽었던 파랑새 이야기도 떠오르고요. 제가 세운 목표, 지향점
같은 것도 결국 제가 행복하기를 원하는 것에서 마무리되니 말이죠. 문득 그 원을 잘 기억하고, 중심을 잘 잡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