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이 아닌 선택이 미래를 바꾼다 - 선택을 마주하는 우리의 자세 아우름 36
류대성 지음 / 샘터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이라는 것에 대해서 정말 많이 생각하게 해준 <우연이 아닌 선택이 미래를 바꾼다> 저 역시 수많은 선택을 하고, 수많은 후회를 하기도 하죠. 하지만 그러면서도 미래는 좀 더 잘될거라며 막연한 기대를 갖고 잠들곤 하는데요. 그래서 미래는 현재의 선택에 따른 결과일 뿐이라는 말에 콕콕 찔리는 기분도 들었어요. 심지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게도 바로 현재뿐이죠.

다양한 등장인물과 상황을 통해서 사람들이 부딪치는 선택의 오류를 살펴볼 수 있는데요. 나이대별로 부딪치게 되는 선택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도 합니다. 그 중에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에 대한 이야기하는데요. 아무래도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이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준다는 것, 저 역시 너무나 공감하거든요. 때로는 나이대별로 사회가 정해놓은 과업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간이라는 생각도 하니까요. 그런 상황에서도 어떤 선택을 할 지가 매우 중요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바르게 선택하는 것, 혹은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을 받아들이는 방법이 더욱 필요하겠죠.

저는 경제적인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좋았는데요. 아무래도 제가 소위 예쁜 쓰레기에 약한편이거든요. 그래서 가성비가 아닌 가심비라는 말이 딱 절 위한 것 같더군요. 합리적인 선택을 방해하는 가심비, 아무래도 지속적인 만족을 주는 선택인지 한번쯤은 자신에게 물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정의에 대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 롤스와 노직을 만날 수 있었지요. 아무래도 철학은 정책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이 부분도 유심히 살펴보게 됩니다. 제가 신자유주의자라고 생각한 적은 없는데, 이상하게 논리적으로는 노직쪽으로 손을 들어주고 싶은 이유도 궁금해지고요. 무엇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그런 생각이 드는지 스스로 점검해보고 돌아보는 시간도 중요한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